전 세계인이 주목하는 지구촌 이벤트 2019 광주 세계수영선수권대회에서 한국 대표팀이 국가명이 새겨진 유니폼조차 없이 테이프를 붙인 옷을 입고 출전해 논란이 되고 있다.
한국 다이빙 에이스로 꼽히는 우하람(21·국민체육진흥공단) 선수는 지난 14일 광주 남부대 시립국제수영장에서 다이빙 남자 1m 스프링보드 결선에 출전했다. 이날 각국의 출전 선수들은 해당 국가 이름이 새겨진 트레이닝복을 입고 있었는데, 우 선수의 트레이닝복 뒷부분에는 국가 이름 대신 은색 테이프가 붙어 있었다.
논란이 일자 김영기 대한수영연맹 사무처장은 “수영용품 브랜드 아레나와 연맹의 전속 후원 계약이 늦어지면서 이번 대회에 출전하는 대표팀의 공식 유니폼을 제작하지 못했다. 급하게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트레이닝복에 태극기를 달고 ‘KOREA’를 새겼다”며 “다이빙 대표팀의 경우 일찍 선수촌에 들어가 훈련하고 지난 12일 개막과 함께 바로 경기 일정이 시작됐다. 이에 유니폼 지급 시기를 놓쳐 할 수 없이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유니폼의 특정 브랜드 로고를 가렸다”고 밝혔다.
아레나 코리아 정종훈 전무는 “지난 1일에야 연맹과 정식으로 2년 후원 계약을 맺었다. 그런데 세계수영선수권 대회는 그로부터 12일 후에 개막했다. 특정 대회의 유니폼 제작은 최소한 6개월 전부터 준비한다”며 “12일 만에 한국 선수단 유니폼을 만드는 건 불가능했다”고 전했다.
아레나는 결국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제품 중 재고가 150여 세트 정도 남아있는 제품을 찾아 태극기 로고만 달아 수영연맹에 보냈다. 그러나 이 모든 과정이 매우 급하게 이뤄지다 보니 우 선수는 ‘KOREA’가 없는 트레이닝복을 입고 대회 초반을 보내야 했다.
정 전무는 “수영용품 브랜드로서 우리 선수들을 빛나게 해줄 유니폼을 제작하지 못해 무척 아쉽다”며 “선수들이 이번 유니폼 논란에 흔들려 경기력이 저하된다면 관계자로서 안타까울 것 같다. 부디 이번 일에 휩쓸리지 않고 대회를 잘 마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영기 사무처장은 “내부적인 문제로 선수단에 제대로 된 지원을 하지 못해 송구하다”고 말했다.
연맹은 수구와 오픈워터 수영 선수들에게는 유니폼이 이미 지급됐고, 다이빙·경영·아티스틱 수영 등 나머지 종목 선수들에게도 15일까지 ‘KOREA’가 임시로 새겨진 유니폼을 나눠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혜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