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경제보복 앞에…문 대통령-황 대표 첫 ‘청와대 회담’ 성사되나

입력 2019-07-15 14:05 수정 2019-07-15 14:40
황교안(왼쪽) 자유한국당 대표는 15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회담을 제안했다.

일본의 대(對)한국 경제보복 조치가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를 한자리에 불러 모으는 기제가 되고 있다. 5당 대표 회동에 부정적이던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일본의 수출규제 사태와 관련해 문 대통령에게 “어떤 형식이라도 회담하자”고 제안하자, 청와대와 더불어민주당은 곧바로 환영의 뜻을 밝혔다.

문 대통령 취임 이후 5당 대표 모두와 회담을 한 것은 홍준표 전 대표가 한국당을 이끌던 지난해 3월이 처음이자 마지막이었다. 황 대표는 지난 2월 당대표에 오른 이후 아직 문 대통령과 회담한 적이 없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한·일 문제 논의를 위한) 청와대 회담을 제안한다”며 “실질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면 대승적 차원에서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5당 대표 회담 수용 여부에 대해서도 “어떤 형식에도 불구하고 경제를 살리고 국가를 지키고 국민을 돕기 위한 모든 방식에 다 동의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과의 1대 1 회담을 고수했던 기존 태도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이에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황 대표가 실질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면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한다고 했다”며 “사실상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회동을 수락한 것으로 보여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금이라도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가 함께 모여 남북 판문점 회동, 일본 경제보복 대응 등 현안에서 초당적인 논의를 할 것을 기대한다”며 “이른 시일 내 형식에 구애 없는 대화의 장이 열리길 바란다”고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환영할 만한 일”이라며 “청와대는 준비가 돼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가능하다”고 화답했다. 이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와 관련해 그동안의 경과와 우리 정부 대응준비 등을 설명하고 국회 차원의 초당적인 대응을 요구할 것”이라며 “정치권에서 대책 등을 제안하면 당연히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 5월 취임 2주년 대담에서 여야 5당에 대표 회담을 제안했다. 그러나 황 대표가 “내실 있는 회담이 돼야 한다”며 1대 1 회담을 역제안했고, 이에 청와대가 난색을 보이면서 공전을 거듭해왔다.

지난 8일 이해찬 대표가 “일본의 경제보복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가 모여 초당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하자”고 제안했을 때도 한국당은 긍정적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황 대표는 사흘 뒤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가 30대 대기업 총수들을 불러 간담회를 연 것을 두고 “성과 없는 사진촬영용 이벤트로 끝났다. 그래놓고 대통령이 기업인들 만나고 5당 대표들을 만나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나”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 이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청와대 회담 제안 배경에 대해 “어떤 정치적인 계산이나 목적을 갖고 회담을 제안하지 않았다.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이 지혜를 모아 난국을 타개하기를 바라는 마음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7월 해외순방 결과 설명을 위해 5당 대표를 초청했으나, 홍준표 당시 한국당 대표를 제외한 4당 대표만 참석했다. 같은 해 9월 북한 핵실험 등 안보 관련 이슈로 다시 5당 대표 회담이 추진됐으나, 이때도 결국 한국당은 빠졌다. 지난해 3월 홍 대표가 회담에 참석하면서 문재인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완전체’ 5당 회동이 성사됐다. 그다음 달에는 문 대통령과 홍 대표의 1대 1 영수회담도 진행했다.

이후 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동, 문 대통령과 한국당 대표와의 회동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