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한국에 대한 수출규제가 국제 공급망을 혼란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 뿐 아니라 일본을 포함해 반도체를 사용하는 가전제품 제조업체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일본 경제지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3일 “한국 반도체 생산에 지장이 생기면 반도체를 사용하는 일본 등의 가전제품 제조업체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는 “일본 기업은 반도체 소재 분야에서 점유율이 높지만 한국 기업이 조달 분산 움직임을 확산하면 ‘일본 이탈’을 부를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기업이 소재 수입국을 다양화하면 일본도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니혼게이자이는 일본 기업들이 어려워질 우려를 제기했다. 현재 수출규제 대상 품목인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제조사인 모리타(森田)화학공업 등은 수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 4일 이후 한국에 제품을 공급하지 못 하고 있다. 반면 중국, 러시아 등에서 한국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는 상황이라고 신문은 보도했다. 중국 기업들은 불화수소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고, 지난 12일 러시아가 한국 기업에 불화수소 공급을 제안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니혼게이자이는 “삼성 등 한국 기업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폭넓은 제품의 기억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시장에서 50∼70%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갖는다”며 “공급이 지연되면 스마트폰 등의 생산도 혼란스러워질 수도 있다”고 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종합연구소 무코야마 히데히코(向山英彦) 수석 주임연구원은 “영향이 너무 크기 때문에 한일은 최종적으로는 타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