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경기도 평택에 있는 해군 2함대 사령부 안에서 발견된 정체불명의 거동수상자가 부대 안에서 근무하는 병사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방부는 13일“국방부조사본부는 수사단을 편성해 현장수사를 실시하던 중 이날 오전 1시30분 거동수상자를 검거했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거동수상자는 당시 합동 병기탄약고 초소 인접 초소에서 경계근무 중이던 병사로 확인됐다.
해당 병사는 경계초소에서 동료병사와 근무 중 “음료수를 구매하기 위해 잠깐 자판기에 다녀오겠다”고 말한 뒤 소지하고 있던 소총을 초소에 내려 내려놓고 전투모와 전투조끼를 착용한 채 초소로부터 약 200m 떨어진 생활관 건물에 설치된 자판기로 이동했다.
해당 병사는 음료수를 구매하지 못하고 초소로 복귀하다 탄약고 초소 경계병에게 목격돼 수하에 불응한 채 도주했다. 이후 동반 근무한 병사와 함께 근무지 이탈 사실을 숨기다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 관계자는 “당시 초병의 암구호에 불응하고 도주했던 인물이 초병근무자라는 사실이 조사과정에서 확인됐다”며 “사태가 커지자 겁이 나 관련 사실을 함구해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사본부는 당시 거동수상자가 랜턴을 휴대하고 어두운색 복장에 모자와 백팩을 착용했다는 진술을 토대로 현장재연 등을 통해 용의자 범위를 압축했다. 동반 근무한 병사에게 “상황 발생 당일 경계근무 중 관련자가 근무지를 이탈했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이후 해당 병사의 자백을 받아 검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해군은 지난 4일 밤 10시쯤 해군 2함대 합동생활관 쪽 이면 도로를 따라 병기 탄약고 초소로 오는 인원에 대해 암구호를 확인했지만 응하지 않고 도주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해당 부대는 다음 날 새벽까지 최초 신고한 초병 증언과 주변 정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외부 침투한 대공혐의점은 없다고 평가하고 ‘부대원 소행’으로 추정해 상황을 종결한 뒤 수사로 전환했다.
군 조사 시작 후인 5일 해군 병사 1명이 자수했다. 그러나 헌병 수사 과정에서 ‘허위 자백’이었던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었다. 허위 자백은 부대 영관급 장교가 많은 사람이 고생할 것을 염려해 병사들에게 허위 자수를 제의했고 이에 한 수병이 그 제의에 응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북한 목선 ‘경계 실패’ 사건과 축소‧은폐 의혹에 이어 경계 및 허위 자백 문제가 또다시 발생하자 군 기강 해이 문제가 불거졌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