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희상 국회의장이 12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해법 마련을 위해 이달 말 국회 대표단을 일본에 파견하겠다고 밝혔다. 문 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한일의회외교포럼 명예회장인 서청원 의원을 중심으로 각 당 대표나 대표성 있는 사람도 한 사람 끼고, 전문가도 같이해 7∼8명 안팎으로 방일단을 구성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문 의장은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19일 이전 (수출규제 철회를 촉구하는) 국회 결의안이 통과되면 그 결의안을 갖고 일본 참의원 선거와 지방선거가 12년 만에 겹치는 21일을 지나 이달 말쯤 국회 대표단이 간다는 것은 확정적”이라며 “국회 대표단이 가서 ‘일본의 수출규제 철회에 한국 국회의 뜻이 여야 없이 한결같다’고 통보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지냈으며 문재인 대통령 특사로 일본을 방문하는 등 한국과 일본의 우호 증진에 힘써왔다. 그는 “지일파를 자부하는 사람으로서 악화된 한일관계를 하루빨리 해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왈가왈부로 새로운 문제를 만들고 싶지는 않으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한일관계를) 이용하는 것은 양국의 우호와 안보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정부가 강제징용 배상 해법으로 구상하는 기금조성 방안에 대해 “‘1+1’(한국 기업+일본 기업 참여)안이 정부안이라고 생각하고, 그 이상의 진전된 안은 없다고 어제도 확인했다”고 전했다. 그는 “일부 신문에서 나온 ‘1+1+α’(한국 기업+일본 기업+한국 정부 참여) 안이 현재로서는 합의되거나 정리된 정부안은 아니지만, 이와 같은 전략 같은 대안을 만들 수 있는 것은 국회 차원에서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문 의장은 남북미 정상의 판문점 회동 성과를 언급하면서 “입법부 차원에서도 국회 방북단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8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이런 구상을 빠른 시일 안에 구체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며 “정부와도 긴밀히 논의해 공식화하게 되면 북측의 전향적인 답변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해 문 의장은 활동 기간이 종료된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의 재가동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아직도 38건의 (국회의원) 징계안이 소관위원회도 없이 방치된 상태다. 국민 눈높이에 턱없이 부족한 처신”이라며 “윤리특위 활동은 자정 노력과 개혁 의지의 리트머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리특위가 재가동하지 못하는 것은) 통탄할 일로, 이런 일이 계속되면 국민소환제 등 국민의 불신임을 받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가 일어날까 봐 걱정”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내년 총선에서 ‘국회의 총리 추천’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개헌안을 국민투표에 부치자는 자신의 제안과 관련, “20대 국회에서 꼭 개헌이 됐으면 한다”며 “끝까지 개헌의 필요성과 대안을 주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장 아쉬웠던 순간에 대해서는 패스트트랙 국면 때를 꼽으며 “국회가 다시 ‘동물국회화’하는 상황을 보면서 말할 수 없는 후회와 회한, 염치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국민 볼 낯이 없다는 아쉬움이 남았다”고 밝혔다.
문 의장은 취임 1년의 성과로 ‘일하는 국회’의 씨앗을 뿌렸다고 자평했다.
그는 “취임 일성으로 ‘협치와 통합의 국회’, ‘일 잘하는 실력국회’, ‘미래를 준비하는 국회’를 나아갈 방향으로 제시했다. 세 가지 모두 ‘신뢰받는 국회’를 목표로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수 활동비를 대부분 폐지했다. 국회혁신자문위원회를 구성해 국회 사무처 인사, 예산, 조직을 전반적으로 혁신했다”며 “일하는 국회를 만들기 위해 입법이 필요치 않은 개혁 작업은 즉각 실행했고 입법이 필요한 사안은 국회개혁안을 만들어 국회 운영위에 제안했다”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