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구리시는 소비와 서비스 중심의 경제구조를 디자인산업과 스마트시티를 육성해 체질개선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전국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구리시는 61.6%가 개발제한구역, 군사시설보호구역, 문화재보호구역, 과밀억제권역 등 삼중사중 규제로 각종 인프라 확충 등에서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인접도시와 비교해 우월한 입지적・환경적 인프라를 가지고도 정작 창업·고용 확대 효과가 큰 제조업은 취약한데 반해 일자리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한 서비스업이 주를 이뤄 자족기능을 겸비한 디자인산업과 4차 산업, 사회적경제 중심으로 바꾸는 획기적인 체질개선이 절실하다.
민선7기 취임 1주년이 지난 안승남 구리시장은 오랜 세월동안 유지해온 소비와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를 개선하고 다가오는 4차 첨단산업에 부합하는 신 성장 혁신산업에 매진해 누구나 살고 싶은 행복도시 구현에 나겠다는 의지다.
먼저 아시아를 대표하는 MICE 산업형 국제디자인도시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조성사업(GWDC)이 오는 10월쯤 행정안전부 중앙투자심사가 완료되면 개발제한구역 해제 및 친수구역 지정고시, 토지보상과 실시계획 수립 용역 착수 등 구체적인 일정계획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기술혁신의 집약체로 기대되는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 조성사업은 최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비용대비편익분석(BC)을 실시한 결과, 0.32로 비경제적 수준으로 나온데 이어 행안부 중앙투자심사에서도 재검토 판정까지 받아 당초 계획의 불합리한 요소를 제거해야 할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구리시의 장기 발전계획 로드맵으로 미래 지능형 스마트도시를 2030년까지 단계별로 진행하고, 테크노밸리는 헬스케어, 바이오, 건강분야 등 혁신기술을 토대로 일자리가 있는 자족도시 건설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확한 경제성과 면밀한 타당성 검토 후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이와 관련 안 시장은 지난해 12월 중국 항주에서 개최된 제1회 AI도시 거버넌스에 참석해 “구리시에 대한 장기 발전 계획으로 신시가지는 물론 구도심지의 재생사업을 연결시켜 도시 전체를 지능화된 지속가능한 경제 자족도시 구축과 이로인한 혁신적인 생활인프라 개선 및 일자리 창출로 시민들이 안전하고 쾌적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토록 하겠다”고 강조한바 있다.
구리시는 이 외에도 ‘구리사랑카드’ 지역화폐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이 순항중이며, 현재 롯데마트 부지가 계약이 종료되는 2021년 2월 이후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이곳에 전천후 복합타운 개발 사업을 디자인과 혁신기술이 조합된 4차 산업 혁명의 연장선에서 추진한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구리농수산물도매시장도 이전해 구리시를 대표하는 랜드마크로 개발한다는 야심찬 계획도 준비 중이다.
구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