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천공항 모범거래모델’을 수립해 공정경제 확산에 나선다.
공사는 최근 청와대에서 열린 공정경제 성과 보고회의에서 ‘인천공항 공정문화 확산방안’ 발표 내용을 토대로 연내 주요 정책과제를 도입한다고 11일 밝혔다. 발주제도, 임대료 체계 등을 개편하고 임차매장의 부담 완화와 중소기업 협력 강화 방안 등을 포괄해 상생협력과 혁신성장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선다는 복안이다.
우선 입찰단계에선 사업자가 합리적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도록 원가 산정 방식을 개편한다. 임대료 체제도 여객 증감률에 연동돼 탄력적으로 조정되도록 바뀐다. 안전·위생을 목적으로 한 시설개선 공사의 경우 공사가 비용을 직접 부담한다. 또 경영 악화 등 한계상황에 직면한 임차 사업자에게는 계약해지권도 부여된다.
구본환 인천공항공사 사장은 “인천공항은 하루 유동인구가 30만명 이상이고 공항산업과 관련한 900여개 업체와 7만여명의 상주직원이 경제활동을 영위하는 대한민국 경제의 축소판”이라며 “동반성장 생태계를 바탕으로 국가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모범거래모델’을 정립해 공정문화를 선도하고 이를 민간 분야로까지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