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한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롱 리스트’ 발언에 대해 “정책실장으로서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10일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김 실장이 일본의 경제보복 관련 100개의 롱 리스트가 있다고 했는데 롱 리스트를 알고 있느냐’는 자유한국당 곽대훈 의원의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앞서 김 실장은 지난 3일 방송사 간부들과 만난 자리에서 “일본에서만 수입할 수 있는 소재나 부품을 골라내니 롱 리스트가 나오더라. 그 중 1·2·3번째에 해당하는 품목이 바로 일본이 규제한 품목들”이라고 말했다. 이 내용은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로 전했다.
이 총리는 “양국 기업과 정부 그리고 국민들이 마음에 입은 상처까지 생각하면 (파장이) 상당히 오래갈 가능성이 있다”며 “양국 지도자들이 장기화되지 않도록 지혜와 결단 내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안이 원만하게 해결될 때까지 책임지고 총리직을 수행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거취 관련 질문에는 “그게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스스로 정치적 거취를 계획하고 있지 않다. 인사권자의 뜻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의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 필요성을 묻는 질의가 나오자 “몇 개월이라도 빨리, 최소한 1200억원을 국회에 정중히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야당 의원들께서도 이번 경제 마찰의 위중함을 알고 계신다”며 “이것이야말로 재해가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도와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또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비책이 충분했느냐’는 질문에는 “충분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기업에 따라 준비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다”고 답변했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