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일본의 ‘경제 보복’에 대한 정부 대응을 두고 “충분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본이 만약 추가 조치를 취한다면 어떤 분야일지 많은 가능성을 보고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10일 국회에서 진행된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관련한 내용이 주로 언급됐다. 이 총리는 “나름대로는 30년 가까운 기간 동안 일본과 관계하면서 살아온 사람으로서 많은 회한이 든다. 저의 지난 세월이 최선을 다한 기간이었나 하는 뼈아픈 생각이 많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강제징용 판결 이후) 경제 보복의 방식이 나왔다는 것은 굉장히 유감”이라며 “지금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난 세월 그대로 한·일 관계 개선 노력을 계속하겠다. 지금이라도 일본에 재고를 바란다”고 했다.
정부 대응책에 대해서는 “산업적 측면에서는 기업들이 피를 말려가면서 재고 확보에 노력하고 있다. 굉장히 눈물이 날 정도의 노력을 하고 있다”며 “수입처의 다변화, 국내 생산역량 확충, 국산화 촉진 등 중장기적으로는 부품 제조 산업의 획기적 육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총리는 다만 ‘정부가 일본과의 경제 전쟁까지 촉발하려 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동의할 생각이 없다. 정말로 그렇게 생각하느냐”고 되묻기도 했다. 그러면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무역의 문제를 뛰어넘어 유엔제재 결의 위반처럼 말한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언”이라며 “수십 년 동안 유지한 한·미·일 중심 안보협력 체제를 흔들 수도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 발언이다. 신중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에 대해 “정책실장으로서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있다고 판단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곽대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김 실장이 일본의 경제보복 관련 100개의 롱 리스트가 있다고 했는데 롱 리스트를 알고 있느냐’고 물은 데 대한 답이었다. 이 총리는 ‘이번 사안이 원만하게 해결될 때까지 책임지고 총리직을 수행해야 하는 게 아니냐’ 질문에 대해서는 “그게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스스로 정치적 거취를 계획하고 있지 않다”며 “인사권자의 뜻에 따르겠다”고 했다.
고용률 통계에 대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부장관이 “고용 상황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용률이나 취업률은 역대 최고로 수치가 높다. 청년 고용률은 2017년 이후 가장 높다”고 하자 야당 의원들은 “거짓말하지 말라”고 소리치기도 했다. 홍 부총리는 “정부가 (고용 상황의) 어려움을 숨기는 것은 아니다. 제조업이나 30~40대 일자리 문제는 심각하게 인지하고 있다”고 했다.
심희정 김용현 박재현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