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토야마 전 총리 “아베, 8월 중순 한국 추가규제 가능성”

입력 2019-07-10 16:12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악화하는 한·일 관계에 대해 “관료 간 지속적 협의와 한류 열풍이 일으키는 민간협력이 가장 좋은 해결방안”이라고 주장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10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아베 내각의 수출규제 결정이 양국 간 갈등을 심화한다고 우려했다. 그는 “정치적인 문제는 정치적으로 해결을 해야 하고 경제적인 측면을 여기에 끌어들여선 안 된다. 강제징용 피해자 문제로 한일관계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일본이 경제면에서 규제를 가했다는 점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며 “다음달 중순쯤 추가 규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남아있다. 상황이 더욱 악화하진 않을까 걱정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서 정상 간 만남이 실현되지 못했다. 이럴 때는 관료들이라도 만나서 대화를 나누고 협의하며 일을 풀어가야 한다”며 “또 과거 한류 영향으로 양국 간 해빙 분위기를 만들어왔다. 일본 사람들이 TV나 영화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훌륭한 예술가들을 더 많이 접하게 된다면 민간협력이 이루어진다”고 조언했다.

진행자가 이 답변에 ‘물밑 접촉하면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할 것 같나’라고 묻자 하토야마 전 총리는 “한국의 이해와 협력에 따라 달라진다. 타협점을 찾는다면 수출규제 조치가 철회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아베 신조 총리가 ‘한국에만 적용하고 있던 우대 방침을 철회한 것’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수출규제 조치가 간단히 철회되진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역사적 사실을 서로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일본이 이런 면에서 부족하다”며 “감정이 상호 간에 고조되면 무의미한 싸움으로 번질 수밖에 없다. 감정을 상호 간에 절제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도 해결책”이라고 덧붙였다.

아베 신조 총리. AP뉴시스

오는 21일 일본에서 열릴 참의원 선거를 염두에 두고 아베 내각이 수출규제 조치를 취했다는 분석에 대해서는 “아베 정권이 참의원 선거에 승리한 뒤 궁극적으로 평화헌법 개정을 하려고 수출규제 조치를 감행했다는 시각도 있다”며 “하지만 아베 총리가 어떤 판단으로 수출규제 조치를 취했는지 모르겠다. 평화헌법과 수출규제를 직접 연결 지을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다만 “아베 정권이 최근 중국과 관계가 양호해지고 있기 때문에 화살 끝이 한국을 향하고 있는 것 같다”며 “수출규제 조치로 일본 국내 경기 침체에 대해 불만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가능성은 있다”고 분석했다.

하토야마 전 총리는 일본 젊은 층의 혐한정서가 심각하다는 주장에 대해 “재일교포 한국인이 하는 가게에 손님들이 전혀 없었던 적도 있다. 현재는 예전처럼 혐한이 심각하지는 않다”고 말했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