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 옹호 세력 이틀째 격하게 반발…“미친 교육감” “학살 광풍”

입력 2019-07-10 14:58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재지정 평가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자사고를 옹호하는 측은 ‘미친’ ‘분풀이’ ‘학살 광풍’ 같은 격한 어휘를 동원해 교육 당국을 비난하고 법적 대응과 감사청구를 추진하고 있다. 정치권도 논쟁에 가세해 11일로 예정된 국회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세목 자사고공동체연합회장(전 중동고 교장)는 10일 “(교육 당국이) 공교육이 망가진 이유를 자사고 탓으로 돌리고 (과거 보수정부에서) 일반고로 전환하지 못한 분풀이를 하고 있다”며 “평생 초중등 교육 한번 생각해본 적 없는 정치인(교육감)들이 교육을 흔들어대고 있다”고 맹비난했다. 오 대표는 현재 로펌 등을 선임해 법적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김철경 서울자사고교장연합회 회장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현 정부는 자사고 폐지를 주요 정책으로 유지해왔다. 교육 부문에서 너무 이념적 요소가 들어와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힘 없는 자사고만 탈락했는가’란 질문에 “그렇다”라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보수성향 교육단체와 정치권도 가세했다. 전국학부모교육시민단체연합은 “미친 교육감과의 한판 싸움 자사고 공동연합회를 지지한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하고, “자신들의 자녀는 기득권을 선점하게 하고, 국민을 통치하는 헬 조선으로 돌아가려는 것”이라며 “공익감사 청구와 소송을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원내대표·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자사고 학살 광풍이 서울에서도 현실화 됐다”며 “좋은 학군, 부자동네 학교쏠림 현상이 가속화되고 부익부 빈익빈이 굳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조치를 강구하겠다. 자사고 평가에 대해 상세한 내용과 과정 그 적절성 여부를 면밀히 따지겠다”고 덧붙였다.


서울 지역은 지난 9일 자사고 8곳이 탈락했지만 학교별 평가 점수가 공개되지 않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당 등 야당은 11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전북 상산고의 재지정 탈락과 함께 서울에서 진행된 ‘깜깜이 평가’ 문제를 집중 부각시킬 전망이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