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하철 노조 무기한 파업 돌입…비상운영 체제 가동

입력 2019-07-10 08:03
9일 오후 부산 금정구 부산교통공사 노포차량기지에 열차가 대기 중이다. 연합뉴스

부산지하철 노조가 임금·단체 교섭 결렬을 이유로 10일 오전 5시부터 무기한 파업에 돌입했다. 2016년 12월 3차 총파업에 이어 2년 7개월 만이다.

노조는 이날 오전 5시 첫 전동차부터 파업을 시작했다. 오전 9시부터는 기술, 역무, 차량정비 등 전 분야로 파업이 확대될 예정이다. 노조 측은 서비스지부 산하 4개 용역업체 소속 240여명의 청소노동자도 파업에 동참한다고 전했다.

부산도시철도는 필수 공익사업장으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더라도 평일 대비 약 61.7% 수준의 열차 운행을 유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체 조합원 3402명 중 필수유지업무자 1014명을 뺀 24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노조 측은 전망했다.

부산교통공사는 노조가 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비상 운영 체제를 가동한다. 비상요원 59명을 투입해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6~8시)에는 전동차를 100% 정상 운행하고, 이 외 시간대에는 평상시 대비 70~75%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공사 관계자는 “필수유지업무자 1014명, 비조합원 등 자체 인력 512명, 외부인력 780명 등 비상 인력 2300여명을 투입해 도시철도 안전 운행과 승객 불편 최소화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파업이 장기화할 경우 시내버스 배차 확대, 전세버스 운행 등 대체 교통수단을 확보해 시민 불편을 줄이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지하철노조와 부산교통공사는 지난 9일 오후 3시부터 5시간30분동안 임단협 최종 교섭을 벌였지만, 끝내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날 노조는 4.3%였던 임금인상률을 1.8%로 낮추는 등의 수정안을 제시했으나 공사 측이 임금 동결 입장을 고수하며 오후 8시30분쯤 협상이 결렬됐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