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측 북핵협상 수석대표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미국측 수석대표인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의 ‘베를린 회동’을 위해 9일 출국했다.
이 본부장은 이날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미 실무협상이 이달 중순쯤 재개될 것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판문점에서(지난달 30일 판문점 북·미 정상회동) 2주 내지 3주 내에 한다고 했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7월 중순 얘기를 했다”며 “그때쯤 재개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본부장은 실무협상 장소와 관련해서는 “그런 다양한 문제에 대해 미국과 북한이 긴밀히 협의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있다”며 “제가 말씀드릴 부분은 아닌 것 같다”고 말을 아꼈다.
이 본부장은 오는 11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비건 대표와 한·미 북핵협상 수석대표 회동을 할 예정이다. 회동 시기가 이미 7월 중순에 접어든 시점이라 북·미 실무협상을 앞두고 한·미 간 전략 조율이 긴밀히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 본부장은 “지난달 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 정상 간 역사적인 3자 회동이 있었고, 이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재가동됐다고 생각한다”며 비건 대표와의 이번 협의에서 “이 평화프로세스를 어떻게 진전시킬지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비건 대표가 지난해 9월 취임한 이후 자주 만나 많은 이야기를 했고 많은 합의가 있었다”며 “이번에도 그 연장선상에서 추가할 것은 없는지, 또 고쳐야할 것은 없는지 게속 협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회동에서는 조만간 시작될 실무협상 핵심 의제가 집중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최근 비건 대표가 북·미 판문점 정상회동 직후 언급한 것으로 알려진 대량살상무기(WMD)의 완전한 동결과 이를 기점으로 한 비핵화 로드맵 등 미국이 원하는 ‘플러스 알파’에 대한 한·미 간 조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북한 비핵화에 대한 상응조치로 거론되는 인도적 지원 및 북·미 연락사무소 개설 등과 함께 남북 경제협력 재개 방안 등도 언급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번엔 지난 1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남·북·미 실무협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미 국무부 관계자는 8일(현지시간) 비건 대표의 유럽 방문 기간 중 북측과의 접촉 여부를 묻는 한국 언론 질의에 “북측 관계자와의 만남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비건 대표는 오는 8~9일 벨기에 브뤼셀을, 10~11일 독일 베를린을 방문한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