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우정노동조합(우정노조)이 8일 총파업 전격 철회한 가운데 민주노총 산하 전국집배노동조합(집배노조)이 반발하고 나섰다. 우정노조는 한국노총 산하다. 우정사업본부 내 최대 노조로 교섭대표로서 사측과 협상을 진행해왔다.
집배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93%의 파업 찬성률과 국민의 파업지지 여론, 교섭 참여노조들의 공동 투쟁결의까지 모든 조건이 갖춰졌지만 우정노조 지도부만 파업준비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정노조의 빈약한 전술을 파악한 사용자(우정사업본부)가 졸속 안을 제시했고 지도부는 끌려다니며 합의를 해준 꼴”이라고 비판했다.
집배노조는 “이번 투쟁은 절차부터 결과까지 모두 틀렸다”면서 “우정노조는 교섭대표노조로서 교섭참여노조의 요구안을 성실하게 듣고, 교섭과정과 결과를 공유할 공정 대표의무가 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
이어 “사용자와의 합의안은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 기획추진단’ 권고안의 정규인력 증원, 토요택배 완전폐지 합의 발끝에도 미치지 못한다”면서 “우정노조의 교섭대표권을 박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집배노조는 앞으로 공정대표 의무위반 시정신청 ·대대적인 교대노조 탈퇴운동 등을 하겠다고 밝혔다.
우정노조는 공무원 2만여명과 비공무원 7000여명으로 구성된 우정사업본부 내 최대 노조다. 교섭대표 노조 권한을 갖고 있다. 집배노조는 노조원 3000여명을 두고 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