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주요 정책 과제로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데이터센터 건립’을 꼽았다.
박 장관은 8일 오후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가진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중소기업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AI) 제조혁신 서비스를 위해 데이터센터 같은 국가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그동안 스마트공장 보급에 힘써왔다면, 이제는 인공지능 미래 공장을 위해 콘텐츠를 채워나가야 한다”고 향후 정책 과제를 강조했다.
그는 “인공지능과 클라우드를 접목해서 얻을 수 있는 건 예측능력”이라며 “중소기업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까진 할 수 있지만, 분석하는 데는 운영비가 너무 많이 나와 중소기업의 고충이 됐다. 국가가 플랫폼을 만들어 중소기업에서 자유롭게 (데이터를) 활용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기부 안에 인공지능 등 육성산업과 관련한 조직을 신설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데이터 주권론’의 관점에서 클라우드 산업을 키워야 한다는 주장도 했다. 박 장관은 “우리의 모든 정보를 아마존이나 구글에 다 저장하고 있는데, 데이터는 미래 권력이라는 시각으로 들여다 봐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데이터 생산은 세계 5위다. 계속 다른 나라에 의존하면서 종속되는 것에 대한 사회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와 관련해 “100대 수출품목으로 (보복이) 확대될 수도 있다는 가정에 따라 검토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무역보복과 관련해 “부품소재 독립선언을 할 수 있는 주인공은 소재개발에 집중하는 중소벤처기업”이라며 “우리 부가 자체적으로 (대응을) 검토하더라도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조, 대·중소기업 공조 등 튼튼한 연대를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