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협상에 돌입한 완성차업계의 노사 줄다리기가 심화되고 있다. 계속되는 실적 부진 탓에 업체마다 성과급과 임금 인상 등이 녹록치 않을 전망이다. 벌써부터 조심스레 파업을 예상하는 목소리들이 나온다.
현대자동차는 7일까지 이뤄진 11차례 교섭에서 임금 인상과 성과급 지급을 두고 평행선을 그었다. 노조는 전년 대비 기본급 5.8% 인상(12만3526원), 전년도 당기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을 요구했다.
그러나 사측은 올해 성과급을 주긴 힘들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해외 법인과 관계사의 지분법 평가 손익을 제외한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593억2000만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현대차가 본사 기준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한 것은 1974년 상장 이후 처음 벌어진 일이다.
더불어 최저임금법 위반을 해소하기 위해 짝수 달에 상여급을 600% 주던 것을 매월 50% 주는 방식으로 바꾸겠다는 입장이어서 이 부분에서도 노사 대립이 첨예하다. 현대차 울산과 아산, 전주 등은 최근 관할 고용노동청에 격월로 지급하던 상여금을 매월 지급으로 바꾸는 내용의 취업규칙 변경안을 신고했다.
노조는 지난 3월 기아자동차가 통상임금 소송에서 승소했기 때문에 현대차도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켜 최저임금 위반 문제를 해결하자는 입장이다.
노조 측은 “상여금 월할 지급 방식에 대해 통상임금과 최저임금 미달 문제를 동시에 논의해야 함에도 (사측이) 일방적으로 취업규칙 변경안을 제출했다”면서 “단체교섭을 파국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8일 “노조와 협의가 되면 좋겠지만 법적으로 협의가 돼야하는 사항은 아니다”면서 “변경하지 않으면 위법이 되기 때문에 우선 변경해 노조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노사 교섭장소를 두고 줄다리기를 하던 한국GM은 결국 제3의 장소인 인천 부평공장 본관 2층 앙코르룸에서 9일 올해 첫 노사 상견례를 하기로 했다. 한국GM 노사는 임협 단체교섭 장소를 놓고 상견례도 하지 못한 채 대립을 벌이다 중앙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신청을 냈다. 중노위는 제3의 장소에서 진행할 것을 권고했다.
어렵게 협상의 문을 열게 됐지만 협상 과정은 불안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GM은 GM 본사로부터 투자와 생산물량 배정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해 반드시 성과를 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노조에서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고 회사가 거부할 경우 갈등이 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완성차업계, 실적 부진과 맞물려 폭염만큼 뜨거운 임단협 줄다리기
입력 2019-07-08 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