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미군 무인정찰기(드론)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의해 격추된 직후 미국이 ‘체면 차리기’ 공습을 하겠다며 이란의 반응을 타진해왔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란 파르스통신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이란 민방위대 골람레자 잘릴리 총사령관이 7일 “이란 영공을 침입한 미군 무인정찰기가 격추되자 미국이 ‘제한 공습’을 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외교 중개자를 통해 우리에게 밝혀왔다”고 주장했다.
잘릴리 총사령관은 “미국은 체면을 살리기 위해 이란의 황무지 지역을 제한적으로 폭격하고 싶다고 했다”며 “그러면서 우리에게 반격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우리는 ‘어떤 군사 작전이라도 전쟁 개시로 간주하겠다’고 답했다”며 “미국은 결국 공습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지난달 20일 이란 남부 호르무즈 해협 근처 상공을 비행하던 미군 소속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 1대를 격추했다. 격추 당시 무인정찰기가 날던 곳이 어디인지를 둘러싸고 이란은 자국 영공, 미국은 국제공역이라는 주장을 지금까지 굽히지 않고 있다.
이란의 주장의 진위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격추 직후 이란을 보복 공격하기로 했으나 이란인 인명피해가 예상된다는 보고를 듣고 작전 개시 직전 취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무인기 한 대를 격추한 보복으로 120여명의 인명을 살상하는 것은 비례적이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이란 원자력청은 이날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에 규정된 우라늄 농축 한도 3.67%를 깨겠다고 선언했다. 다만 자신들이 어느 정도로 우라늄을 농축할 계획인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