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라운드를 진행하는 K리그1은 이번 주말 19라운드를 마치며 반환점을 돌았다. 우승 경쟁은 전북 현대·울산 현대·FC 서울의 3파전으로 압축된 상태다. 세 팀은 이적·부상·논란 등으로 현재 각각 고민을 안고 있다.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후반기 우승 경쟁의 향방을 가를 전망이다.
전북은 김신욱의 공백이 고민이다. 김신욱은 지난 5일 상하이 선화 감독으로 취임한 최강희 감독을 따라 중국 무대 진출을 타진 중이다. 김신욱은 8골로 K리그1 득점 2위를 기록 중인 공격의 중추다. 올 시즌 상대적으로 부진한 이동국(리그 4골 1도움) 외에 김신욱을 대신할 선수도 딱히 없는 상태다.
외국인 선수 문제도 지적된다. 이비니·티아고가 부진하고 아드리아노는 부상으로 사실상 시즌 아웃됐다. 70억원 이상으로 거론되는 김신욱의 이적료로 현명한 여름 이적시장을 보내는 게 전북의 과제가 됐다.
울산은 ‘골잡이’ 주니오의 기복이 아쉽다. 주니오는 6일 인천 유나이티드전에서 득점하기까지 2달 넘게 골 가뭄에 시달렸다. 시즌 초반 득점 선두를 이어오던 폼이 급격히 저하된 것이다. 주민규가 최근 4경기 중 3경기에서 선발로 나왔지만 리그 1골 1도움에 그치고 있어 확실한 골잡이의 부재가 문제로 지적된다.
홈경기장이 바뀐 것도 울산에겐 변수다. 울산은 6일 경기부터 전반기 내내 홈으로 사용하던 문수축구경기장을 떠나 울산종합운동장으로 옮겼다. 이날 홈관중은 8000여명으로 집계돼 직전 경기 1만3000여명보다 5000여명이나 줄었다. 변화된 시설과 분위기에 빠르게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은 울산이다.
서울은 팀 안팎으로 어수선한 상태다. ‘득점 선두’ 페시치(9골)가 오른쪽 새끼발가락을 골절당해 6주간 경기에 나설 수 없다. 오스마르도 코뼈가 골절된 상태로 강원 FC와의 경기에 출전해야 했다. 3강 중 스쿼드가 가장 얇은 서울로선 중심선수들의 부상이 골칫거리다.
판정 특혜 논란도 악재다. 지난달 30일 울산전에서 김원식의 핸드볼 파울이 비디오판독(VAR)을 거치고도 파울로 선언되지 않았는데, 경기 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이를 오심으로 인정하며 논란이 불거졌다. 6일 강원 FC와의 경기에서도 논란은 이어졌다. 조영욱의 동점골 과정에서 오스마르의 파울 의심 행위가 있었음에도 VAR 시행 후 골이 그대로 인정된 것이다. 최용수 감독이 “우리도 잠을 못 잘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고충을 토로한 것처럼, 서울은 논란에 따른 심리적 위축 극복이 절실한 상태다.
세 팀은 오는 14일 전북과 울산의 경기를 시작으로 후반기 맞대결 일정에 돌입한다. 20일 서울과 전북, 30일 울산과 서울의 혈투가 예정돼 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