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집배원 총파업 8일 결정…막판 타결 가능성도

입력 2019-07-07 16:46
전국우정노조가 지난달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오는 9일에 예정된 총파업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사상 첫 우체국 집배원 총파업 여부 결정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핵심 쟁점인 ‘인력 증원 규모’에 관해 노사간 공감이 이뤄지면서 막판 협상 타결 가능성이 높아졌다.

우정사업본부 노사 협상 대표는 주말인 7일에도 최종 합의안에 들어갈 문구를 조율했다. 우정노조 각 지방본부 위원장들은 8일 서울로 올라와 노사가 막판까지 줄다리기를 한 합의안을 보고 서명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집배원 총파업 여부는 8일 오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노사는 모두 협상 최종 타결로 파업이 철회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동호 우정노조 위원장은 “지난 5일 노사 마지막 협상 자리에서 사측이 인력 충원 규모에 대해 기존 500명이던 입장을 750명으로 바꾸면서 강성이던 노조 측 분위기가 누그려졌다”고 말했다. 또 “이낙연 국무총리도 ‘집배원 과로사 문제’를 언급하는 등 정부의 해결 의지가 보여 국민에게 피해를 주는 최악의 결정은 피하자는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도 “조심스럽지만 타결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며 “5일 사측이 내놓은 협상안을 본 노조 대의원들이 박수를 치며 노사 교섭을 진행하던 집행부에게 최종 결정을 맡기겠다고 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노사는 이날 인력 충원안, 우체국 수익금 관리, 택배물량 감소안 등과 관련해 구체적인 로드맵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사측이 예금, 보험 등 흑자를 내는 분야의 수익으로 우편 사업 적자를 메꾸는 방안에 합의했는데, 구체적인 방법과 시기를 요구하는 중”이라며 “향후 2년 내 ‘2000명 충원 계획 실행 방안’에 대해서도 최대한 구체적으로 노사 합의문에 넣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다만 파업 가능성은 노사 합의문 서명 직전까지 여전히 남아 있다. 우정노조 한 지방본부 위원장은 “집행부 10명 중 70%는 ‘파업까지 가진 말자’는 분위기지만 여전히 강성 기조인 지역도 있다”며 “사측에서 인력 충원을 약속한 후 지키지 않은 적이 많기 때문에 나도 내일 최종 합의된 문구를 보고 실제 실행 의지를 판단한 후 서명 여부를 결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우정노조는 지난달 25일 93%의 높은 찬성률로 총파업을 결의했다. 이들은 “사측이 집배원 과로사 문제 해결을 위해 1000명을 채용하지 않으면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파업에 돌입하면 1884년 우정국 설치 135년 만에 첫 파업이 된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