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감정노동자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입력 2019-07-05 12:11
경남도가 ‘감정노동자 실태조사 및 상담센터 운영방안 연구용역’(이하 감정노동자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2월부터 창원대 산학협력단에서 연구했으며, 감정노동자에 대한 권익보호를 위해 감정노동자의 인권보호와 노동환경개선 방안, 복지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주요 연구내용은 경남도내 감정노동 종사자의 분포와 현황, 근무실태와 노동조건 파악,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선진제도와 권리구제방안 연구,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현실적·제도적 대안 마련과 감정노동자 권리보호센터 설치 및 운영 방안 제안 등이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경남도 감정노동 종사자는 약 53만명으로 경남도 전체 임금 노동자의 30%(경남취업자수 약 173만명, 2018년 기준)이상이 감정노동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고서의 실태조사에서는 경남의 감정노동의 직업별 구성을 보면 조리 및 음식 서비스직 20.8%, 매장 판매직이 20.4%, 보건사회복지 관련 직종 17.3%, 미용·예식 및 의료보조서비스직이 10.1%의 순으로 종사하고 있다.

도내 감정노동자의 시·군별 구성은 창원(32.7%), 김해(16.5%), 진주(11.8%), 양산(10.1%) 등 4개시에 71.1%의 감정노동자가 편중되어 있어 주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피해와 고충을 줄이기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충분한 휴식시간 및 휴식을 위한 편의시설 지원’(19.1%)이 가장 많았고, ‘악성 고객에 대한 응대를 거부할 권리 부여’(18.8%), ‘과도한 친절요구를 제한하는 것’(14.4%) 등으로 조사돼 중앙정부 뿐만 아니라 경남도가 제도적, 정책적으로 풀어야할 숙제가 적지 않다.

감정노동 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경남도 감정노동자 권리보호센터 설치 제안, 감정노동자 인권증진을 위한 민관협력 방안 마련, 감정노동자 보호조례 등 감정노동자 보호 규범 마련, 감정노동자 보호를 위한 지침 및 가이드 마련 등이제시됐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