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이 함께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경제보복 등 복합적인 외교 현안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는 외교전략조정회의가 5일 출범했다. 민관이 복합적인 외교 현안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짜내 최선의 방향을 찾기 위해 구성됐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날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청사에서 열린 1차 외교전략조정회의 모두발언에서 "최근 들어서 국제정세는 매우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경제·기술·외교·안보, 지역, 세계 전략을 넘나들면서 정말 복합적이고 불확실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미·중 관계 관련 이슈와 일본과의 관계를 포함해 주변 4국들과 조정이 필요한 다양한 현안들도 다뤄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첫 회의에서는 미·중 간 무역전쟁 등 갈등 상황과 최근 공식화된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한 대응방안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그러면서 “주어진 상황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기보다 우리의 국익을 기초로 건설적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넓혀나가면서 중견국으로서의 우리의 외교적 역할과 기여를 확대해나가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외교전략조정회의에는 외교부에서 강 장관과 조세영 1차관, 이태호 2차관을 비롯해 주요 실국장들이 모두 참석했고,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방부, 청와대, 국가정보원 등 관계부처에서 실장급 인사들도 자리했다.
민간에서는 장달중 서울대 명예교수, 이희옥 성균중국연구소장, 이상현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신승권 국제무역연구원장 등이 참석했다
외교부는 외교전략조정회의를 정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외교전략조정회의 산하에는 격주로 열리는 차관급 주재 외교안보분과위원회와 경제과학기술위원회가 설치된다. 또 국립외교원 차원에서도 전문가로 구성된 별도의 분과위가 운영된다.
최근 외교부 내 신설된 전략조정지원반은 외교전략조정회의 사무국 역할과 주요국과 관련한 동향‧정보 분석, 외교전략의 조정, 긴급 현안 대응과 관련된 업무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