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상품수지(수출-수입)가 53억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번 흑자 폭은 5년 4개월 만(64개월)에 가장 작았다. 지난달 7년 만에 적자를 기록했던 경상수지는 5월 들어 흑자를 회복했다.
한국은행은 4일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9년 5월 국제수지(잠정)를 발표했다. 4월 경상수지는 6억6000만달러 적자를 나타내 2012년 4월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5월 경상수지는 49억5000만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경상수지 흑자 회복은 상품수지가 흑자 기조를 유지한 가운데 서비스 수지 적자 폭이 줄고 배당 지급 등 4월의 계절 요인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경상수지는 한 나라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모든 거래 가운데 상품과 서비스 등의 경상거래 통계를 말한다. 경상수지 항목 중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분야는 상품수지와 서비스수지다. 상품과 서비스를 외국에 수출하면 생산 증대를 유발해 일자리가 늘어나고 소득도 늘어난다.
상품수지는 53억9000만 달러 흑자였지만 이 흑자 폭은 2014년 1월 36억7000만달러 흑자 이후 5년 4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수출(480억3000만달러)이 1년 전보다 10.8%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세계 교역량이 줄어들고 반도체 단가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9.2% 감소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3월(-36.2%) 이후 가장 큰 감소이다.
수입(426억4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1% 감소했다. 서비스수지 적자는 9억달러를 나타냈다. 적자폭은 2016년 12월(6억6000만달러 적자)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서비스수지 구성항목 가운데 운송·여행수지가 전년 동월 대비 개선된 덕분이다. 원자재 운임지수가 하락하고, 중국·일본인을 중심으로 외국인 입국자 수가 늘었기 때문이다.
올해 1∼5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155억3000만달러를 나타냈다. 앞서 한은이 지난 4월 경제전망에서 내다본 상반기(1∼6월) 경상수지 흑자폭(245억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규모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