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수는 4일 오전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김어준 생각’을 시작으로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시작했다.
김 총수는 우선 수출규제에 비판적인 일본 언론들의 보도를 일일이 거론했다. 징용공 문제를 통상정책으로 대항하는 것은 자유무역에 반하는데다 자국 기업에 미치는 부작용 또한 크다는 내용이다.
아사히신문은 사설을 통해 ‘자유무역의 원칙을 왜곡하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는 즉시 철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도쿄신문 또한 사설에서 ‘서로 불행해질 것이다. 아베의 수출규제는 자유무역에 반하며 한국 기업의 탈일본화가 진행되는 역효과가 날 것이다. 대화로 조기 수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본 최대 경제지 니혼게이자이 또한 사설에서 ‘징용공에 대한 보복 조치를 자제하라. 징용공 문제에 통상정책으로 대항하는 것은 기업에 미치는 부작용이 크고 장기적으로 불이익이 많다’고 비판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기사를 통해 ‘한일 경제 전체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서로 부품을 공급하는 수평무역 관계이기 때문에 일본 기업의 피해가 크다’고 분석했다. 극우 산케이조차 ‘일본 전자업체의 생산 계획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김 총수는 이처럼 일본의 대표적인 언론들조차 수출규제에 비판적인데 이상하게 우리 보수 언론들은 이 보복 조치를 비판하는 대신 우리 정부를 비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일 관계 악화의 책임은 청와대다’ ‘아무 것도 하지 않은 한국 정부’ ‘큰 소리 쳤지만 허를 찔린 정부’ ‘반일은 북한만 이롭게 한다’는 제목의 기사를 나열한 뒤 “일본 매체도 이해할 수 없다며 편들지 않는 이 아베 정부의 조치를 우리 보수매체들은 이렇게 돕고 있다”면서 “일본의 극우가 아스팔트에서 한국인은 떠나라고 했을 때, 우리 극우는 아스팔트에서 일장기를 들고 나타난다. 그게 우리 보수의 정체”라고 몰아세웠다.
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