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부터 서울 지하철 5호선 군자역에서 시범 운영된 ‘스마트 스테이션’이 2호선 역에 본격 도입된다.
서울교통공사는 분산돼 있는 분야별 지하철역 관리 정보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스테이션’을 2호선 50개 역에 내년 3월까지 구축한다고 3일 밝혔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군자역 스마트 스테이션 시범사업 결과 역 사이 순회시간이 평균 28분에서 10분으로 줄었다. 또 돌발 상황 시 대응시간이 평균 11분에서 3분으로 단축되는 등 안전, 보안, 운영에서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스테이션을 통해 3D맵, IoT센서, 지능형 CCTV 등이 유기적으로 기능하며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보안, 시설물, 재난, 고객서비스 분야 등에서 통합적 관리가 가능질 것으로 보인다.
3D맵을 통해 역 내부를 3D 지도로 볼 수 있어 긴급 상황 발생 시 위치와 상황을 기존 지도보다 좀 더 입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지능형 CCTV는 200만 화소 이상으로 화질이 높다. 또 객체 인식 기능이 탑재돼 있어 제한구역 무단침입, 화재 등이 발생했을 때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지하철역 내부를 3차원으로 볼 수 있어 위치별 CCTV 화면을 통해 가상순찰도 가능할 전망이다.
서울교통공사는 기존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량하는 방식으로 2호선에 스마트 스테이션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난달 LG유플러스 컨소시엄과 계약하고 이날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총 사업비는 119억원이다.
이번 계약에는 각 부서에서 운용 중인 IoT 단말 수집 정보를 표준화, LTE-R 기반의 IoT 플랫폼 구축 등이 포함돼 있다. 이를 통해 시설물 장애 등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 군자역에 시범 적용된 스마트 스테이션 기능을 보완하는 작업도 동반한다. 자동으로 휠체어를 감지해 역 직원에게 통보해 주는 기능, 역 직원이 역무실 밖에서도 역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바일 버전을 구축하는 것 등이 주요 개선사항이다.
서울교통공사 측은 “2호선을 시작으로 점차 전 호선에 스마트 스테이션 도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황선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