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원인은 일자리 부족과 높은 교육비”

입력 2019-07-03 15:56 수정 2019-07-03 16:18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입니다. 뉴시스


국민들이 생각하는 저출생의 가장 큰 원인은 일자리 부족과 높은 교육비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은 2017년 7월부터 지난달까지 소셜미디어(SNS) 게시물 31만여건을 바탕으로 ‘저출생 고령화’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저출생의 원인과 관련한 연관어는 ‘일자리’와 ‘교육’ 등 경제적 요인에 대한 언급이 가장 많았다. 일자리 연관어로는 ‘맞벌이’ ‘월급’ ‘청년실업’ 등이 상위권에 나타났다. 출산을 고민하는 사람들은 ‘교육비’와 ‘주거비’ 등 비용에 대한 고민이 컸다.

저출생의 사회적 요인에 대해서는 직장과 관련된 핵심어 언급량이 높았다. ‘직장’ 관련 연관어로는 ‘차별’ ‘경력단절’ 등이 언급돼 직장 내 차별이나 여성의 경력단절을 출산의 걸림돌로 인식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고령화 시대에 필요한 대책으로는 ‘노인 일자리’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 확대에 가장 주목했다. 건강관리 서비스와 치매 관리 서비스, 기초연금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저출생 정책과 관련해서는 돌봄 서비스 지원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다. 양육비용 지원, 일·가정 양립, 출산·임신 의료비 지원에 대한 관심이 뒤를 이었다. 국공립 어린이집 확대 등 보육 공공성 강화 대책, 아동수당, 육아휴직 지원금 인상,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정책도 언급됐다.

인구정책과 관련한 인식 분석 결과 ‘정년 65세 연장’과 ‘가족 형태’와 관련한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이 드러났다. ‘가족 형태’와 관련해서는 ‘1인 가구’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으며 ‘2인 가구’에 대한 관심도 상승 추이를 보였다.

1·2인 가구는 ‘돌봄’ 문제, 한부모·미혼모 가구는 ‘양육’ 문제, 다문화 가구는 ‘차별’ 문제를 고민거리로 꼽았다.

문체부 국민소통실은 SNS 게시물을 통해 여론을 파악하고 그 흐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2013년부터 여론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문체부 국민소통실은 앞으로도 정책 관련 여론 빅데이터를 꾸준히 분석해 국민 수요에 부응하는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