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 딴지일보 총수가 문재인 정부가 일본의 무역 규제에 책임이 있다는 자유한국당의 비판에 “근본적으로 일본이 초래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김 총수는 3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의 ‘김어준 생각’ 코너에서 일본의 무역 보복 조치는 문 정부가 자초한 일이라는 전희경 한국당 대변인의 논평을 비판했다.
그는 “일본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일본 전범기업들이 피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우리 법원의 판결에 대해 무역으로 보복했다”며 “대법원이 일본 기업 손을 들어준 1심과 2심을 파기환송한 것은 2012년 이명박 정부 때다. 또 파기환송심에서 서울고등법원이 배상 판결을 낸 건 2013년 박근혜 정부 때다. 이 판결들이 현 정부와 무슨 상관인가”라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대법원이 2018년 확정한 결론을 행정부 수반이 무슨 수로 바꾸나”라며 “근본적으로 일본이 초래한 일이다. 우리 정부가 자초했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납득이 안 간다”고 말했다.
김 총수는 “현실주의적 접근을 하지 못했다”는 전 대변인의 논평에 대해서도 “보수가 생각하는 실익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배상을 스스로 포기하고 우리 기업이 일본에서 부품을 잘 수급받는 건가”라고 되물으며 “‘일제 강점은 우리가 자초한 거다’는 100년 전 친일매국의 레퍼토리였고 ‘일본 보복은 우리가 자초한 거다’는 100년 후 우리 보수의 레퍼토리”라고 비판했다.
역사학자 전우용씨도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문 정부에 한일 외교책임이 있다는 주장을 반박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반한 정책’이 문제인가, 한국 정부의 ‘반일 정책’이 문제인가. 한국 정부에 한국 대법원 판결을 뒤엎으라고 요구하는 건 ‘한국 모욕정책’이 아니고 그 요구에 응하지 않은 건 ‘반일정책’인가”라며 ‘문 정부의 반일정책’이란 프레임의 오류를 지적했다.
또 “문 대통령이 국민의 반일감정을 자극하여 국내 정치에 이용하려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일본인의 ‘혐한감정’조차 정부 탓으로 돌리려는 이유는 무엇인가”라며 “일본인들의 혐한시위가 문재인 정부 때 시작되었나. 아베 정권이 자국민의 혐한감정을 정치에 이용하려 한다는 생각은 못하나”라고 덧붙였다.
박준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