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역 안에 병원이 생긴다면?
서울교통공사가 추진하는 지하철역사 내 의료기관에 대해 의사협회가 반발하고 있다. 공사는 시민들의 지지가 높다며 밀어붙이겠다는 계획이다.
김태호(사진)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3일 페이스북에 “의료인조차도 지하철역사에 의원을 개설하면 돈벌이 도구이고 상가에 의원 개설하면 봉사 차원이냐고 반문하며 의협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는다. 게다가 지하철 역사에 의원 개설하면 사무장병원이 된다는 의견도 납득되지 않는다. 많은 시민들과 의료인들도 지하철역사 의원 개설을 지지하고 있다”는 글을 올려 대한의사협회의 반대를 반박했다. .
전날 대한의사협회는 “지하철 역사 내 의료기관 개설을 시도하는 행위는 의료를 포퓰리즘과 돈벌이의 도구로 이용하려는 전형적인 의료영리화의 일환”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 7호선 강남구청역 내에 시민편의형 의원·약국 임대차 입찰 공고를 냈다. 강남구보건소의 수리 거부로 사업은 잠시 중단된 상태다.
의협 측은 “유동인구가 많고 밀폐된 공간이기 때문에 감염위험이 높다”며 지하철역사가 의료기관 개설 장소로는 부적합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일부 의사들은 지하철역 내 의료기관 개설이 장기적으로 의료계에 도움이 된다며 찬성 의사를 밝히고 있다. 시민들도 지하철역에 병원이 생긴다면 접근성이 좋아서 상당히 편리할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국내 첫 지하철역사 내 의료기관은 지난해 초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문을 열었다. 서울교통공사가 2016년부터 지하철역사에 의원과 약국을 유치하기 위해 ‘메디컬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는 “수년 전부터 의사들이 지하철역 내 상가에 대해서 문의를 많이 해왔다. 임대료도 싸고 권리금도 없는데다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의사들의 수요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며 “강남구청역 내 의료기관 설립은 앞으로 구청과 협의를 통해 사업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