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총파업에 따라 광주·전남에서는 330여개 학교의 단체급식이 차질을 빚고 있다. 30여개 초등학교의 돌봄교실도 문을 닫았다.
광주 253개 공립학교 중 132곳, 전남 766개 공립학교 중 206곳에서 급식이 중단됐다.
전체 1019개 공립학교에서는 338곳(33.2%)에서 급식실 운영이 멈춘 것이다.
하지만 학교별 파업 참가 상황이 구체적으로 파악되지 않아 실제 급식 중단 학교 수는 유동적이다. 광주에서는 114개교가 빵, 떡, 과일, 고구마 등 대체 급식을 제공하거나 도시락을 싸 오도록 했으며 18개교는 기말고사나 학사일정 조정으로 급식을 피했다.
전남에서는 80개교가 도시락 지참 또는 대체 급식, 71개교가 단축 수업, 55개교는 기말고사나 체험학습 시행에 들어갔다.
광주 2곳, 전남 30곳 등 초등 돌봄교실도 운영되지 않고 있다. 광주에서는 4371명 교육공무직 가운데 3800여명이 노조에 가입해 1078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전남에서는 7543명 교육공무직 중 5900여명이 조합원이다. 이 가운데 17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
조리사와 조리 실무사 영양사, 교무행정사, 교육복지사, 돌봄전담사 등의 직종으로 나뉘는 교육공무직은 교육청, 학교 등에서 근무하던 비정규직 직원을 정년까지 신분이 보장되는 무기직이다.
전국 학교 비정규직 연대회의는 5일까지 파업을 예고하고 있다.
광주·전남에서 학교 비정규직노조가 총파업에 나선 것은 2017년에 이어 2년 만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전남 330여개 학교 단체급식 차질, 30여개 돌봄교실도 문 닫아
입력 2019-07-03 1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