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는 1982년 시작됐다. 6개 구단이 80경기씩을 치렀다. 총 240경기 체제였다. 그해 경기장을 찾은 관중은 143만 8768명이었다. 경기 당 관중은 5995명이었다. 이듬해 곧바로 200만명 관중 시대가 열렸다. 그리고 1990년 300만명이 넘는 관중이 몰렸다. 1993년에는 400만명을 훌쩍 넘어서더니 1995년에는 500만명 관중 시대가 도래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시대가 도래하면서 프로야구 관중은 200만명대로 회귀했다. 500만명 이상의 야구팬이 경기장을 다시 찾은 것은 2008년부터다. 그리고 2011년 680여만명, 2012년 715만여명이 경기장으로 몰려왔다. 그리고 2016년 800만명 관중 시대가 열렸다. 2017년 840여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리고 지난해엔 807만여명이었다. 팀당 144경기, 총 720경기 체제다. 평균 관중은 1만1214명이었다. 프로축구가 지난해 124만여명의 관중을 모은 것과 비교하면 프로야구가 국내 최고 인기 스포츠임에는 분명하다.
그런데 올해들어 눈에 띄게 관중이 줄고 있다. 지난 2일까지 413경기를 치러 450만여명의 관중이 들었다. 경기 당 평균 1만 901명이다. 지난해에 비해 10%가까이 줄어들었다. 시즌이 마칠 때면 700만명을 조금 넘는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3년 연속 이어져온 800만명 관중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되는 것이다. 프로야구의 위기가 도래했다는 말까지 나온다.
최고 인기 구단인 롯데 자이언츠와 KIA 타이거즈의 성적 하락이 영향을 미쳤겠지만 그래도 첫 번째 원인으로는 저질 야구가 꼽힌다. 한 구단 투수들은 한 이닝 최다인 8사사구를 기록하기도 했다. 또 다른 구단 투수들은 한 이닝 7볼넷을 남발하기도 했다. 끝내기 스트라이크 낫아웃 폭투까지 연출됐다. 실책과 볼넷이 없는 경기를 보기가 하늘의 별따기만큼이나 어려운 현실이다.
한 야구 감독은 마운드에 올라가면 스트라이크를 던지지 투수가 수두룩하다고 하소연할 정도다. 인력 자원이 부족한 만큼 10개 구단 체제를 8개 구단 체제로 환원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저질야구가 관중 감소에 주요 원인인 것은 분명하다.
그것만의 문제로 볼 수 없다. 오심은 경기의 일부라고도 하지만, 요즘은 경기의 흐름을 일거에 바꿔놓기 일쑤다. 승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준이다. 3피트 라인과 주자들의 수비 방해 주루에 대해선 심판마다 그때그때마다 기준이 다르다. 들쭉날쭉한 볼·스트라이크 판정은 선수뿐만 아니라 야구팬들을 짜증나게 만들고 있다. 한 심판은 3피트 라인 오심으로 2군으로 내려가기도 했다.
그리고 프로야구 선수들의 일탈 행위 정규시즌 개막 이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일부 구단 선수들은 전지 훈련 도중 해외 카지노를 버젓이 드나들었다. 한 베테랑 선수는 음주 운전으로 은퇴까지 해야 했다. 인터넷 도박으로 유기실격 처분을 받은 선수는 복귀를 시도하다 좌절되기도 했다. 지적장애 미성년자를 성폭행한 혐의로 구속된 한 선수는 연일 신문 지면에 오르내리고 있다. 전직 프로야구 선수는 유소년들에게 불법 의약품을 투약 판매하다 구속되기도 했다.
선수만이 아니라 일부 구단 감독은 경기장에서 욕설도 서슴지 않았다. 투구 도중 투수를 교체하는 엉뚱한 감독도 있었다. 한 구단 고위 관계자는 2군 선수들을 불러 자신의 공을 받아보게 하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졌다. 지난 겨울 각 구단들은 리빌딩을 외치며 베테랑 선수들을 내보는데 혈안이 되기도 했다.
종합해보면 선수와 코칭스태프, 구단, 심판 모두가 야구팬들의 발걸음을 돌리게 하고 있다는 게 맞는 말이다. 지난해 이미 국가대표팀 선발 과정에서의 병역 특례 논란, 아시안게임 경기력 논란, 이룹 선수들의 일탈 행위가 겹치면서 관중 4%가 감소했었다.
그런데도 한국야구위원회(KBO)와 10개 구단은 위기의식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신규 외국인 선수 몸값을 100만 달러로 제한해 버렸다. 자유계약선수(FA) 이적에 따른 보상선수 제도 폐지는 관심이 없다. 이대로 간다면 프로야구계 전체가 동반 몰락할 수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과감한 개혁만이 살 길이다. 외국인 선수 진입 장벽을 철폐하고 외국인 선수 보유 한도를 늘려야 한다. FA 보상선수 제도를 철폐해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해야만 전력 평준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무엇보다 구단 이익을 우선할 게 아니라 야구팬들이 보고 싶은 경기를 만들어 줄 수있는 환경 조성이 우선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