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식·돌봄’ 대란 시작됐다…기본급 격차 못 줄여 ‘총파업’ 돌입

입력 2019-07-03 07:37 수정 2019-07-03 10:00

급식조리원과 돌봄전담사 등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부터 사흘간 총파업에 돌입한다. 교육당국은 단축 수업을 하거나 대체 급식을 준비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2년 전 파업 때보다 3배 이상 큰 규모여서 차질이 불가피하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전국여성노조 등이 속한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는 3일부터 민주노총 공공부문 노조 공동파업에 동참해 총파업에 들어간다. 이는 전날 교육당국과 학교 비정규직 관계자들이 마지막 교섭에 나섰지만 결국 결렬됐기 때문이다.

학비연대는 2일 오후 1시부터 오후 6시50분까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등 교육당국과 정회와 속행을 반복하며 교섭을 진행했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학비연대는 전 직종 기본급 6.24% 이상 인상과 정규직 대비 근속급 차별해소, 복리후생적 처우 차별해소 등을 요구했다. 그러나 교육당국은 기본급 1.8% 인상을 고수해 큰 격차를 보였다.

이에 따라 학교 비정규직은 3일부터 사흘간 전국 17개 시‧도에서 총파업을 진행한다. 예상되는 참여 인원은 약 9만명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체 국·공립 유치원과 초·중·고교·특수학교(1만4890개) 중 약 40%다.

학비연대는 앞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통해 6만5953명의 찬성으로 파업을 가결됐다. 교육부 집계에 따르면 전국 1426개 학교 중 44.1%인 4601개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2년 전 파업 때보다 3배 이상 많은 숫자다.

시도 교육청과 학교는 급식 대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시락과 빵 등을 제공하기로 했다. 도시락을 지참하도록 안내한 학교도 있다. 차질이 예상된 초등학교 돌봄교실도 교직원들이 맡아 운영할 예정이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은 “급식과 돌봄, 특수교육지원 등 학생불편이 예상되는 부분은 더 세심히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면서 “지역‧학교별 여건을 고려한 대책으로 결식이나 돌봄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