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혁신기술 제품 공공시장 진입 확대한다

입력 2019-07-02 11:28 수정 2019-07-02 11:48

정부의 혁신 기술제품 구매 활성화를 위해 조달청이 새로운 공공조달 정책을 추진한다.

2일 조달청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이번 정책은 혁신 제품 시범구매를 통한 초기시장 마련, 혁신조달 플랫폼 구축 및 수요 창출 등이 핵심이다.

조달청은 먼저 혁신시제품 시범 구매를 통한 혁신제품의 상용화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혁신 시제품을 조달청 예산으로 구매하고, 테스트를 희망하는 수요기관이 사용토록 지원하는 이 사업은 올해 드론·바이오헬스·핀테크 등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수요기관의 테스트에 성공한 제품은 우수조달물품으로 지정되거나 혁신조달 플랫폼에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내년부터는 신기술·신산업 분야 전반으로 구매 대상과 예산이 확대되며 공공수요 기반의 사업 모델로도 확장될 예정이다.

새롭게 구축될 예정인 혁신조달 플랫폼 개요. 조달청 제공

조달청은 이와 함께 혁신제품 통합몰인 ‘혁신조달 플랫폼’도 구축한다.

새롭게 개발되는 혁신제품 플랫폼은 혁신시제품 시범구매, 단계적 협의에 따른 과업 확정 방식’ 등 신설되는 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혁신제품 보유기업과 공공기관의 매칭 지원, 특허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 정보의 비대칭을 해소하게 된다.

아이디어 협의와 경쟁을 바탕으로 최적의 제안업체를 선정하는 새로운 계약방식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조달청은 ‘단계적 협의에 따른 과업확정 방식’ 계약에 관한 세부 운영기준·표준공고문을 마련하고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한다.

또 하반기부터 공공기관이 해당 방식으로 조달청에 계약을 요청할 경우 이를 대행할 계획이다.

이밖에 조달청은 선례가 없는 조달행정이 있을 경우 사전컨설팅 제도를 활용하고, 혁신성 평가를 통과한 제품을 구매할 경우 적용되는 면책제도에도 보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혁신지향 공공조달 사례가 있을 경우 이를 기관평가에 반영해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올해부터는 혁신조달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매년 개최해 기관·개인을 대상으로 포상한다. 오는 11월 15일 첫 대회를 개최하고 내년부터는 새로 제정되는 조달의 날(9월 30일)에 맞춰 대회를 실시할 계획이다.

정무경 조달청장은 “연간 120조 원의 공공조달 구매력을 활용한 혁신기술, 혁신제품의 초기 시장 창출이 그 어느 때 보다 중요하다”며 “혁신제품을 선도적으로 구매하고, 이를 기업의 투자로 연결시키는 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