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횡성의 민족사관고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강원도교육청은 1일 자율학교 등 지정운영위원회를 열고 민사고의 자사고 지정 연장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민사고는 운영성과 평가 결과 기준점수인 70점을 초과한 79.77점을 얻었다. 민사고는 이번 재지정으로 2020학년도부터 5년 간 자사고 지위를 유지하며 학생을 선발할 수 있게 됐다.
민사고는 평가 지표 중 사회통합전형 항목의 배점이 낮아지면서 커트라인을 무사히 넘겼다. 앞서 도교육청은 기초생활수급권자, 차상위계층 자녀를 선발하는 제도인 사회통합전형 관련 지표를 지역 특성을 고려해 총 14점에서 4점으로 줄이는 등 평가기준을 조정했다.
이로써 ‘원조 자사고’(옛 자립형사립고) 5개 가운데 전북 상산고만 고배를 마셨다. 민사고에 앞서 광양제철고(전남) 포항제철고(경북) 현대청운고(울산)는 평가를 통과했다. 상산고는 79.61점인데 전북교육청의 기준점 80점에 미달해 탈락하고 민사고는 비슷한 점수인데도 강원교육청 기준점이 70점이어서 통과한 점은 자사고 논란에 불씨로 남을 전망이다. 전북교육청의 청문절차나 교육부 동의·부동의 과정에서 논란이 불가피하다. 법정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관심은 서울 지역 자사고로 옮겨가고 있다. 서울교육청은 오는 10일 경희고 동성고 배재고 세화고 등 13개 자사고 평가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문재인정부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등 진보 교육계는 이명박정부 당시 난립한 서울 지역 자사고들이 ‘고교 교육 생태계’를 교란했다고 본다. 결국 주된 타깃은 서울 지역 자사고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교육부가 전북지역 정치인들의 반발이 큰 상산고는 지정 취소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서울 지역 평가에서 탈락하는 자사고는 모두 일반고로 전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여론전은 가열되고 있다. 서울자사고학부모연합회(자학연)는 이날 자사고 폐지 반대서명 3만명분을 받아 서울교육청에 전달했다. 자학연은 “(조희연 교육감이) 막연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 아이들을 임상도구로 삼고 있다”며 “100만 동문, 유관 단체, 시민사회 등 공동체와 연대해 자사고 폐지 기도를 끝까지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보수단체는 조 교육감이 두 아들을 외국어고에 보낸 것을 두고 ‘내로남불’ 공격을 이어가고 있다. 반면 전교조는 서울지역 교사 1418명 설문조사를 공개하고 “교사 71%가 자사고가 교육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