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3기 신도시 지정에 반대하는 경기도 고양 일산신도시와 남양주 다산신도시 주민들이 주말 동안 집회를 열고 ‘3기 신도시 백지화’를 촉구했다.
지난 29일 오후에는 고양 일산동구청 앞에서 고양 일산·파주 운정신도시 주민 1000여명이 창릉 3기 신도시 지정을 반대하는 주말 7차 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 참석해 자유발언에 나선 한 주민은 “3기 신도시 주변에는 공급물량이 넘쳐나고 있다. 차라리 1·2기 신도시의 악성 미분양과 교통문제,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한 대출 지원, 우수기업 유치 등 실질적 지원이 서민들을 위한 정책”이라며 “이번 3기 신도시 지정은 사전 도면 유출과 불법적인 정보로 땅을 산 투기꾼, 3기 신도시 땅장사로 배를 불리는 정부와 LH가 부당한 폭리를 취하는 권력형 비리 착취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승철 운정신도시연합회장은 “그동안 운정신도시 주민들은 경기남부 신도시들과의 지역발전에 대한 상대적인 차별과 박탈감을 감수하며 힘겹게 살았다”며 “국회 부의장 및 윤후덕 국회의원 등 정치인을 대상으로 3기 신도시 철회 촉구 활동을 벌이고 신도시연합회와 연대해 광화문 집회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날 오후 늦게까지 집회가 이어지면서 도로 가로등에 불이 들어오는 과정에서 집회 장소인 일산동구청 인근 가로등만 불이 들어오지 않자 집회 참석자들은 불만을 제기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일부러 가로등을 소등해 불필요한 오해를 받을 필요는 없다”면서 “가로등이 차례로 점등되는데 갑작스럽게 고장이 난 것”이라고 해명했다.
남양주 다산신도시 주민 1000여명은 30일 오후 다산신도시 수변공원에서 왕숙 3기 신도시 지정을 반대하는 2차 촛불집회를 열었다. 주민들과 함께 자유한국당 주광덕 국회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최현덕 정책위 부의장(전 남양주시 부시장) 등 여야 정치인들도 참석해 주민들의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이날 집회를 주최한 다산신도시총연합회는 집회 개최를 알리는 현수막이 모두 철거된 것에 반발하며 ‘교통지옥 3기 신도시 OUT’이라는 문구가 적힌 대형 현수막을 집회 장소에 게시하기도 했다.
이진환 총연합회장은 “남양주시와 국토부는 눈과 귀를 막고 시민들을 외면, 침묵하고 있어 더 이상 정치와 행정에 기댈 수 없는 시민들은 거리로 나왔다”며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수도권 서북부만을 위한 교통대책, 자신의 지역구만 챙기는 구태정치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광덕 의원은 “지금도 교통지옥인 상황에서 왕숙지구가 들어서면 남양주는 사방팔방 교통지옥이 될 것”이라며 “시민들이 교통체증으로 얼마나 고통받는지 김현미 장관에게 전문가 토론회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어 최현덕 전 남양주시 부시장은 “2017년 부시장으로 일할 당시 다산신도시 임원진과 수시로 만나 입주 전 교통문제, 학교문제 등을 함께 논의했다”면서 “모두의 숙원인 교통 해결 문제를 국토부 장관을 만나 의견을 전달해 다산신도시가 남양주시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네가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종익 왕숙지구 주민대책위원장은 “조광한 시장은 주민들과 대화 거부하며 본인의 치적 쌓기에 열중하고 있다”며 “3기 신도시 지정으로 60여년 동안 살며 피땀 흘려 가꿔온 농토를 하루아침에 빼앗긴다니 잠을 이루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정부가 발표한 3기 신도시 중 고양 창릉신도시는 813만㎡ 3만8000세대, 남양주 왕숙신도시는 1134만㎡ 6만6000세대에 이른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