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 대출잔액이 4년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대부업 대출 이용자도 3년 연속 감소 추세다. 법정 최고금리 인하에 따른 대출심사가 강화되고, 정부의 서민금융상품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행정안전부는 1일 ‘2018년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12월 말 기준 대부잔액이 17조 3487억원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6월말 대비 983억원(0.6%) 줄어든 액수다. 반기 기준으로는 2014년 말 이후 처음 감소한 것이다.
대부업체 이용자는 221만 3000명이었다. 지난해 6월 말 236만7000명에서 15만4000명(6.5%) 줄면서 3년째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중신용(4~6 등급) 이용자 비중은 1.9% 포인트 늘었고, 저신용(7~10 등급) 이용자는 1.9% 포인트 줄었다. 대부업 이용자의 대출 목적은 생활비가 56.6%로 가장 많았고, 타대출 상환이 15.1%로 뒤를 이었다. 직업은 회사원이 68.4%, 자영업자 22.8% 순이었다. 평균 대출금리는 19.6%로 지난해 6월말(20.6%) 대비 1.0% 포인트 하락했다. 법정 최고금리가 연 27.9%에서 24.0%로 내린 영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대출잔액과 대부업 이용자 감소는 저축은행에 인수된 대부업자들의 영업 축소,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대출 심사 강화, 정책서민금융 확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채권매입추심업자의 채권 매입잔액이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불법 행위나 피해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매입채권 잔액은 4조2783억원으로 지난해 6월말 대비 7147억원 늘었다. 채권매입추심업자는 1101개이며, 이 가운데 59%(650개)가 금전대부업과 겸업하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저신용자 신용공급 상황과 시중금리 동향을 모니터링하면서 저신용 취약차주의 자금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겠다”며 “법정 최고금리 준수, 과도한 채권추심 여부 등 대부업자의 불건전 영업행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