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이 주도한 김해공항 확장안 총리실 재검토 결정에 반발하고 있는 대구·경북이 재검토의 부당함을 주장하며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통합신공항 대구시민추진단(이하 추진단)은 1일 오후 세종시 국토교통부를 방문, 실무자들과 면담을 하고 항의문을 전달했다.
추진단은 항의문에 부·울·경과 국토부의 김해공항 확장안 총리실 재검토 합의 부당성, 대구·경북 시·도민들의 분노 등을 담았다. 추진단은 사전에 김현미 국토부장관과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김 장관이 자리에 없어 만나지 못했다.
서홍명 추진단 집행위원장은 “이번 항의방문은 부·울·경의 정치적 꼼수에 대한 엄중한 경고이자 이후 어떤 방식으로든 대응하겠다는 결의”라며 “김해신공항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는 국토부 입장은 변함이 없고 총리실 논의는 갈등조정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답변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의 주장에 대한 국토부의 구체적인 회신을 보고 다음 행동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도 국무총리실에 항의의 뜻을 전했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가 지난달 25일 총리실을 방문, ‘총리께 드리는 건의문’을 전달하며 강한 유감의 뜻을 전했다.
권 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름으로 작성된 건의문에는 ‘김해신공항 재검토의 필요성과 이유를 밝히고 대구·경북 시·도민의 동의부터 구하라’는 내용과 함께 재검증 절차를 거친다면 검증시기·방법·절차를 영남권 5개 시·도와 합의할 것, 김해 신공항 재검증이 가덕도 신공항 건설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밝힐 것, 재검증이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건설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도록 할 것 등의 요구를 담았다.
이낙연 총리의 부재로 만남은 성사되지 않았지만 대구·경북 단체장들은 조만간 이 총리와 만나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신공항 입지를 둘러싸고 영남권이 가덕도(부산)와 밀양(대구·경북·울산·경남)으로 나뉘어 극심한 갈등을 빚었다. 결국 정부의 중재로 외국 전문기관 용역을 거쳐 2016년 6월 영남권 신공항의 대안으로 기존 김해공항 확장안이 최종 결정됐다.
하지만 최근 부·울·경이 가덕도 신공항 유치안을 다시 주장하면서 김해공항 확장안 재검토를 정부에 요구했고 지난달 20일 총리실 재검토 결정이 났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