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광주, 군 공항이전 사업 명암 엇갈려…대구는 순풍 광주는 난항

입력 2019-06-30 16:03 수정 2019-06-30 18:02

대구와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대구는 정부의 정책적 의지가 실려 순항하고 있지만 광주는 이전 후보에 오른 지자체들의 강한 반대로 첩첩산중이다.

30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 군 공항(K-2) 이전부지 선정위원회가 지난 28일 위원장인 정경두 국방부 장관 주재로 권영진 시장, 이전 후보지인 김영만 군위 군수와 김주수 의성 군수,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 민간위원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부에서 개최됐다.

지난해 3월 이후 15개월여 만에 열린 위원회에서 참석자들은 대구시에서 제출한 K-2 부지 활용방안과 이전지 지원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위원회는 ‘군 공항 이전특별법’상 이전지 선정 권한을 가진 핵심기구다.

위원회는 향후 이전지 선정 기준을 정하고 이전사업지원위원회(위원장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와 주민공청회를 열어 이전지에 대한 지원규모를 확정할 방침이다. 연말까지 K-2 이전지를 최종 선정하기 위한 행정 절차가 본격 궤도에 진입한 것이다.

위원회는 최소 3000억원으로 이전지 주변 주민들이 원하는 체감도 높은 복지증진 사업을 벌일 방침이다. 이를 위해 7월에는 군위, 의성군 등과 구체적으로 지원계획을 협의하고 8~9월에는 공청회를 통해 주민의견을 반영하게 된다.

그동안 8조원 안팎의 이전사업비 재산정 등에 어려움을 겪어온 K-2 이전사업은 이전 후보 지자체의 능동적 자세와 국방부 등의 개입에 따라 순풍에 돛을 달게 됐다.

하지만 광주 군 공항 이전은 유력 후보 지자체 번화가에 ‘결사반대’ 문구가 적힌 10m 높이의 대형 홍보탑이 세워지는 등 난항의 연속이다.

전남 무안군은 최근 전통시장 입구와 해제면 갯벌축제장 사거리, 남악신도시 고속도로 진입로 등 4곳에 ‘군공항 이전 결사 반대’라고 쓴 홍보탑을 설치했다. 군은 옥외 전광판 2곳에도 군공항 이전 사업 반대 동영상을 반복해 상영 중이다.

‘군 공항 대응 TF’를 구성한 군은 지난해 10월부터 65차례에 걸쳐 주민들을 대상으로 군 공항 이전사업 바로알기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공개적으로 이전반대 행보를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방부가 무안 영암 해남 신안 등 광주 군 공항 이전 후보지 4곳에서 추진 중인 주민설명회조차 그동안 열리지 못한 상황이다. 나머지 영암 해남 신안군도 주민 반대로 미온적 태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4개 지자체는 지난 4일 국회에서 열린 이전후보지 정책토론회에 모두 불참했다. 군 공항 이전은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며 국방부의 주민설명회도 거부하고 있다.

지난해 광주 민간공항의 무안국제공항 통합에 합의했던 김영록 전남지사는 지난 26일 취임 1주년 기자회견에서 “광주 군 공항 이전은 해당 지자체에 강요할 수 없다”며 한 걸음 물러섰다.

광주 군 공항 이전사업은 2028년까지 7조7480억원을 들여 15.3㎢ 규모의 신공항을 건설하는 것이다. 역시 이전지에 4508억원 규모의 지원사업을 벌일 예정이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