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민주화 시위 모델은 한국 촛불집회다

입력 2019-07-01 00:10
출처 빈과일보

홍콩 정부가 추진했던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로 시작된 홍콩 민주화 시위가 한국의 촛불집회를 모델로 삼고 있는 것일까.

30일 홍콩 빈과일보는 7월 1일에 있을 대규모 시위를 예고하면서 한국의 촛불집회 영상을 보도했다. 7월 1일은 홍콩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되면서 자치권을 보장받은 날이다.

빈과일보는 시위 예고 기사와 함께 영상 한 편을 게재했다. 이 영상에는 홍콩 시민들의 시위 모습과 한국의 촛불집회 장면을 함께 보여준다.



빈과일보는 영상과 함께 2016년 10월 한국의 박근혜 정부 당시 대통령의 큰 스캔들이 터졌으며 그의 만행이 드러날수록 국가적 분노가 커졌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은 23주간 집회를 열었고 15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대회에 참가해 박 대통령에게 물러나라고 요청했다”며 “2017년 3월 헌법재판소는 탄핵 결정을 통과시켰고 박 대통령은 즉시 탄핵당했다”고 덧붙였다.

빈과일보 영상에는 박 대통령의 얼굴은 물론 촛불집회 모습, 탄핵 인용을 선고했던 이정미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얼굴까지 등장했다. 영상의 마지막에는 홍콩도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며 마무리된다.



빈과일보는 한국처럼 홍콩 시민들이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 시민들은 현재 두려움과 공포도 없이 최전선에 서 있으며 7월 1일 오후 2시30분에 대규모 시위가 열린다고 전했다.

기사를 본 홍콩 네티즌은 “긴 고통보다 짧은 고통이 낫다. 모두 모여서 홍콩을 바꾸자” “한국은 정말 대단한 나라다. 홍콩도 할 수 있다” “한국이 그랬듯 홍콩을 바꾸는 것은 정부의 몇 사람이 아닌 홍콩 시민들이다” 등의 반응을 쏟아내고 있다.

홍콩 시민들은 지난 9일부터 범죄인 인도법에 반대하며 사상 최대 인파인 100만명이 참여한 대규모 시위를 벌였다. 현재 범죄인 인도법은 잠정 중단됐으나 홍콩 시민들은 법안의 완전 철회와 캐리 람 행정장관의 퇴진을 요구하며 시위를 이어나가고 있다.

홍콩 정부가 추진했던 범죄인 인도 법안은 중국에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다. 홍콩 시민들은 중국 정부가 이 법을 악용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김도현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