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29일 방한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한으로부터 연락온게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0일로 예정된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방문에서 북·미 정상 만남이 가시화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리셉션을 마친 뒤 친교만찬을 위해 상춘재로 이동하며 ‘북측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것이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연락받은 게 있다(We have, yes)”고 대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내일 DMZ에서 남·북·미 정상회담이 열리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지켜보자(We’re gonna see). 우리는 지금 관련해서 일을 하고 있다(We’re working things out right now)”고 했다. 남·북·미 정상의 DMZ 회동을 두고 북·미 사이에 실무접촉이 이뤄지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당초 이날 한·미 정상 만찬에 참석할 계획이었지만 결국 불참한 스티브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한반도 담당 선임보좌관이 북측과 물밑에서 DMZ 회동을 논의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정숙 여사는 만찬 전 칵테일 리셉션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장녀인 이방카 트럼프 백악관 보좌관에게 “내일 굉장히 중요한 게 있는데 잘 풀렸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방카 보좌관은 “오늘 저녁에 그것과 관련해 우리 남편(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이 업데이트해줄 것이 있다고 하더라”고 말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일본 오사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미·중 무역전쟁 해결을 위한 회담을 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수도, 만나지 않을수도 있다”고 말했다고 외신 등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측이 DMZ에서의 깜짝 만남에 대해 매우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고도 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DMZ에서 김 위원장을 만난다면 DMZ를 넘어 북한 땅을 밟을 수도 있느냐’는 질문에 “문제 없다”며 “매우 편안하게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DMZ를 방문한 뒤 북한으로 향한다면 현직 미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북한 땅을 밟게 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트위터에 “시 주석과의 회담을 포함해 아주 중요한 몇몇 회담을 가진 후에 나는 일본을 떠나 (문 대통령과) 한국으로 갈 것”이라며 “그곳에 있는 동안 북한 김 위원장이 이것을 본다면 나는 DMZ에서 그를 만나 악수하고 인사(say Hello)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남겼다. 그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조찬을 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DMZ 방문에 대해 “지켜보자. 그(김 위원장)가 거기 있다면 우리는 서로 2분간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에 대해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은 조선중앙통신에 담화를 발표하고 “매우 흥미로운 제안이지만 이와 관련한 공식제기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취재진에게 “확정된 건 하나도 없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