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썩이는 한반도… 트럼프 DMZ 회동 트윗에 北 화답

입력 2019-06-29 15:40 수정 2019-06-29 16:0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비무장지대(DMZ) 회동을 제안했다. 북한은 공식 제의를 받지 못했지만 “흥미로운 제안”이라고 화답했다.
AP뉴시스

트럼프 대통령이 29∼30일 방한하는 동안 김정은 위원장과 역사적인 ‘DMZ 회동’이 성사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북·미 정상의 DMZ 회동이 이뤄진다면 북한 비핵화 협상을 포함한 한반도 정세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도 함께 하는 남·북·미 3자 DMZ 회동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담에 참석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29일 김정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을 포함한 아주 중용한 몇몇 회담을 마친 뒤에 나는 일본을 떠나 (문제인 대통령과) 한국으로 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에서 있는 동안 김정은 위원장이 이 글을 본다면, 나는 (분단의) 경계인 DMZ에서 그를 만나 악수하고 인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 글을 올린 뒤 기자들과 만나 “(DMZ 회동은) 오늘 아침에 생각한 것”이라며 “김 위원장도 만나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의사를 타진해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그(김정은 위원장)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면서 “북한에 없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거기에 있다면 우리는 서로 2분간 보게 될 것”이라며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전부지만 그것도 좋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김 위원장이 만나고 싶다면 나는 DMZ에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깜짝 제안에 북한이 긍정적인 대답을 반나절만에 내놓으면서 역사적인 DMZ 회동 가능성에 기대감을 높였다.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담화에서 “매우 흥미로운 제안이라고 보지만 우리는 이와 관련한 공식 제기를 받지 못하였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대로 분단의 선에서 조·미(북·미)수뇌상봉이 성사된다면 두 수뇌분들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친분관계를 더욱 깊이하고 양국 관계 진전에서 또 하나의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부상이 “공식 제기를 받지 못하였다”고 밝힌 것은 미국 정부가 공식적으로 DMZ 북·미 정상회담을 제안할 경우 받아들일 수도 있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글이나 발언 등 비공식적인 입장이 아니라 공식적으로 제안해 김 위원장이 나설 수 있는 정치적 명분을 제공해달라는 의미가 담겨 있는 것이다.

최대 관심사는 북한의 DMZ 회동 수용 여부다. 김 위원장도 북·미 대화의 새로운 모멘텀을 만들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워싱턴의 외교소식통은 “북한의 스타일을 감안할 때, DMZ 회동을 수용할 의사가 없었다면, 굳이 입장을 내지 않았을 것”이라며 “북한이 트럼프 대통령의 체면을 세워주면서 향후 북·미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고 할 것 같다”고 말했다.

DMZ 회동이 성사된다면 북·미 정상은 세 번째 만나는 것이며 지난 2월 27∼28일 베트남 하노이 정상회담 결렬 이후 4개월 만에 재회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제 조율을 할 물리적 시간이 없어 기대감만 부풀리다가 불발로 그칠 것이라는 반론도 여전하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