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개별 나무는 최첨단 모바일 기반의 ‘원격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습도, 지온, 대기 등 생육상태를 체크하는 센서를 화분 속에 설치해 수집한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 앱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식물이 살기에 적정한 생육 조건을 벗어나면 관리자는 수목이 무엇을 원하고 어떠한 요인이 부족한지 판단해 맞춤형으로 관리할 수 있다.
서울시는 28일 신청사에서 진희선 행정2부시장, 심우용 SK임업㈜ 대표이사, 김선중 SK텔링크㈜ 대표이사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광장 내 이동식 수목설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에는 이동식 화분 기부, 수목 활력도 증진을 위한 사후점검 및 검수, 원격 무선관리시스템 설치 및 지원 등이 담겼다. 협약에 따라 서울시는 사업을 기획하고 홍보활동, 행정업무를 지원하며 SK임업㈜는 대형나무 총 20그루와 이동식 화분 (6100만원 상당)을 기부했다. SK텔링크㈜는 원격 무선관리시스템을 설치하고 관리한다. 식물에 대한 사후 점검과 검수는 세 기관이 함께 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서울광장을 시작으로 시민 일상과 가까운 공간 곳곳에 ‘찾아가는 움직이는 숲’을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2022년까지 총 3000만 그루의 나무심기를 골자로 서울시가 지난 3월 발표한 ‘2022~3000 아낌없이 주는 나무심기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식재가 어려운 광장·공원 내 공터에 생활밀착형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움직이는 숲’ 사업이다.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민간기업과의 협력으로 시민들이 많이 찾는 서울광장에도 천연그늘이 생겨나고, 도심 속 녹지공간도 확충할 수 있게 됐다”며 “서울시는 앞으로도 미세먼지를 저감시키고 시민들에게 시원함까지 제공하는 녹지공간을 시민 일상과 가까운 공간 곳곳으로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