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다음 달 3~5일로 예고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총파업을 위해 조합원 10만여명의 쟁의권을 확보했다고 27일 밝혔다. 상당수 사업장에서 총파업 찬반투표를 가결시켜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는 뜻이다. 공공부문에서 비정규직 총파업이 일어나는 건 처음이다.
민주노총 공공부문 비정규직 공동파업위원회는 이날 서울 마포구 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 10만 조합원의 쟁의권을 확보해 사상 최초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조의 연대 총파업 돌입 준비를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현재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 규모는 민간위탁까지 포함해 85만명이 넘는다. 이중 민주노총 산하 공공운수노조, 민주일반연맹, 서비스연맹 등에 가입된 이는 20만명 규모다. 쟁의권을 확보한 조합원은 10만5517명이다.
이들은 다음 달 3일부터 공공부문 비정규직 철폐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전국 학교 비정규직 노조도 파업에 참여한다. 민주노총은 아직도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 중인 조직이 있어 쟁의권을 확보한 조합원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총파업은 지난 4월부터 예고됐다. 정부가 취임 당시부터 공약으로 내세웠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가 후퇴했다는 이유에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임금격차를 정규직 대비 80%로 축소하고 차별시정제도를 전면개정, 상시·지속 비정규직 사용을 제한하는 법제도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번 총파업은 지난 21일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의 구속에 대한 항의 성격도 띨 전망이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