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 온상’ 대전 하수처리장 적격성 통과…2025년 새로 태어난다

입력 2019-06-27 16:35
대전 하수처리장 이전 대상지 조감도. 대전시 제공

대전의 숙원사업이었던 유성구 원촌동 하수처리장 이전사업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대전시는 ‘대전하수처리장 이전 및 현대화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적격성조사를 통과했다고 27일 밝혔다.

시가 KDI 공공투자관리센터(PIMAC)에 적격성조사를 의뢰한 2016년 5월로부터 3년여만이다.

조사 결과 이 사업은 비용편익분석(B/C) 1.01을 기록하며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민간투자 적격성분석(VFM)에서도 민간투자 사업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됐다.

이로써 시는 원촌동 하수처리장(65만t/일)과 오정동 분뇨처리장(900t/일)을 통합, 유성구 금고동에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하수처리장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대전 하수처리장 항공사진. 대전시 제공

금고동 자원순환단지 부근에 들어설 예정인 새로운 하수처리장은 총 사업비 8433억 원 규모의 민자사업 형식으로 추진된다.

부지 면적은 지금의 40만4000㎡에서 13만6000㎡로, 시설 용량은 90만t에서 65만t 규모로 줄어든다.

이는 현재의 일평균 하수처리 용량과 대전의 인구 변화 추이를 고려해 설정됐다는 설명이다.

전체 시설은 완전 지하화되며 지상에는 상업 및 체육시설이 들어설 전망이다. 공사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진행된다.

사업이 완료될 경우 원촌·전민·문지동 일대 5만여 세대의 악취 문제가 해결되고, 사업시행에 따른 1조6000억 원 규모의 생산 유발효과와 1만200명의 취업 유발효과 등이 발생할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기존 하수처리장과 위생처리장 부지의 활용 방안은 조만간 결정될 예정이다.

시는 대전시의회의 동의와 기획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심의, 사업시행자 선정 공고 등의 후속절차를 마치고 2021년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최근 건설된 하수처리장은 하수처리장을 지하에 설치하고, 지상은 시민 체육시설등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금고동 일대에 대규모 주민 편익시설이 생기는 것”이라며 “오랫동안 참아주신 주민들께 감사드린다. 좋은 결과를 만들기 위해 수고해주신 많은 분들께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