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계속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올해 1~4월 출생아 수가 10만9200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혼인도 7만9100건에 그쳐 가장 낮았다. 통계청이 26일 공개한 인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해 4월 출생아 수는 2만6100명으로 집계됐다. 2018년 4월(2만7800명)보다 6.1% 감소했다. 1~4월 출생아 수는 10만92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11만7600명)보다 8400명(7.1%) 줄어들었다.
혼인도 마찬가지다. 올해 4월 2만건을 기록해 전년 동월(2만600건)보다 2.9% 감소했다. 1~4월 누계로는 7만9100건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8만6800건)보다 8.9% 줄었다. 4월 출생 2만6100명 및 혼인 2만건은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81년 이래로 가장 적은 기록이다. 1~4월 통계(출생 10만9200명과 혼인 7만9100건)도 마찬가지다.
인구 전망은 계속 부정적이다. 혼인 건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혼인 외 출산 비중이 한 자릿수 초반에 머물고 있다. 반면 혼인 후 출산하는 비중이 90%대 후반으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혼인이 출산의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혼인 건수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기준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고령화의 영향으로 이혼 건수, 사망자 수도 늘어나고 있다. 새 부부는 감소하는 반면 남남이 되는 부부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4월 이혼은 9500건으로 전년 동월(8700건)보다 9.2% 늘었다. 이혼 건수는 연간 기준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년 연속 감소하다가 2018년(전년 누계 대비 2.5%)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후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