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대신 XX양이라뇨”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설움

입력 2019-06-26 16:18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6일 서울 용산구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정규직 신분에 따른 차별 실태를 소개하고 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제공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에서 행정실무사로 근무 중인 김모(45·여)씨는 심각한 비정규직의 설움을 겪고 있다. 그는 “일부 정규직 교사들은 행정실무사들에게 선생님 호칭 대신 ‘XX양’이라고 부르며 하대한다. 학적 업무, 방과 후 업무, 수업계 등 교육 관련 행정이 본연의 업무인데도 전화 응대와 차 접대, 교장 선생님의 자택 청소 등 잡일을 하는 경우가 파다하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모(43)씨는 2008년부터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로 일하고 있다. 그는 “한여름이나 겨울에 체육관은 정규직인 체육전담교사와 담임교사의 수업 장소로 배정되고, 스포츠 강사들은 야외 수업을 한다. 이는 정규직-비정규직 신분 차별에서 오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대다수 스포츠 강사들이 1년 미만의 단기 재계약을 반복하는 구조인데, 하루빨리 불안정한 고용 형태가 해결됐으면 좋겠다”고 희망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산하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는 26일 서울 용산구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신분 차이로 겪는 직종별 차별 실태를 소개했다. 이들은 내달 3일부터 5일까지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학교 비정규직의 신분 및 임금 차별 해소를 촉구하는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노조에 의하면 지난해 5월 국회에서 개정된 최저임금법으로 인해 학교 비정규직에 적용되는 임금 실질 인상률은 10.9%에서 6.6%로 줄었다. 또 공무원 9급과 비교했을 때 평균 임금이 64%정도에 그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에 노조는 공무원 최하위 직급의 80% 임금 수준이 되도록 기본급을 6.24% 올려줄 것을 촉구했다. 또 상여금, 휴가비, 복지비 등 수당도 정규직과의 차별을 없애달라고 요구했다.

박정호 노조 정책실장은 “당장 소득격차를 줄이자는 게 아니라 3년간 로드맵을 갖고 집단교섭 형식으로 해결해 가자는 취지다. 직종별로 신분 차별 해소는 학생들의 교육에 있어서도 적잖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달 예정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총파업에는 역대 최대 인원인 10만명이 동원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