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사업으로 추진되는 제2경춘국도가 남이섬과 자라섬 사이를 관통하는 것으로 계획된 가운데 경기도 가평군민 10명 중 8명은 노선변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남이섬은 제2경춘국도 노선 중 남이섬과 자라섬 사이를 관통하는 교량건설 계획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 가평군민과 이용고객들 대부분이 노선 재검토를 바라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남이섬의 의뢰로 모노리서치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가평군 지역 만 19세 이상 주민 500명 대상, 유선RDD 자동응답조사 표본오차95% 신뢰수준±4.4%p 응답률5.8%)에 따르면 가평군 주민 10명 중 8명은 “교량 건설 시 선박 안전사고와 지역경제 피해 등이 우려된다”며 우회해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상 문제로 선박 운항횟수가 줄면서 지역사회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73.7%가 공감하고 있고, 교각과 교각 사이를 통과해서 다녀야 하는 선박운행에 안전상의 큰 위협요인이 된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73.7%가 공감한다고 응답해 가평 주민 10명 중 8명이 교량건설로 인한 국민 안전과 지역사회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친다는 우려를 표했다.
이어 계획대로 교량이 건설되면 남이섬, 자라섬을 포함한 북한강변 일대의 수려한 자연경관이 크게 훼손된다는 지적에 대해 매우 동의한다는 응답이 44.9%, 대체로 동의한다는 28.5%로 지역 주민의 73.4%가 교량 건설로 인한 환경파괴와 경관훼손에 대한 우려 또한 높았다.
기존 노선안에 대한 대안으로 남이섬과 자라섬 사이를 관통하는 것보다 자라섬과 남이섬의 위 아래로 우회하여 건설되는 것이 더 낫냐는 질문에서는 남이섬과 자라섬의 위 또는 아래로 우회하여 피해가 없도록 건설하는 것이 낫다는 응답이 80.1%로 상당수를 차지했다.
또 제2경춘국도 교량건설을 놓고 일각에서 지역사회에 피해 검토나 여론 수렴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일방적 건설은 지역 경제와 환경에 큰 영향이 있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응답이 88.2%로 지역민의 의견수렴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되는 정부의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것으로 풀이된다.
남이섬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도 지역주민의 의견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같은 기간 남이섬 이용고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ARS자동응답조사(표본오차95% 신뢰수준±5.3%p 응답률18.7%)에서 이용고객 10명 중 9명 이상(93%)은 “계획대로 교량이 건설되면 남이섬, 자라섬을 포함한 북한강변 일대의 수려한 자연경관이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응답해 환경파괴와 경관 훼손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가 있다는 주장과 선박운행에 큰 위협요인이 된다는 우려에 대해 10명 중 9명이 공감했다. 또한 환경파괴와 경관훼손에 대한 우려 또한 93%나 공감했고, 우회해 교량을 건설해야 한다는 의견도 92%로 월등히 높았다.
지역사회가 입는 피해 검토나 여론 수렴없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인다는 비판에 대해 공감하는 의견도 94%를 넘는 등 제2경춘국도 남이섬~자라섬 노선을 우회해 건설해야 한다는 여론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2경춘국도 건설사업은 남양주와 춘천간 32.9㎞를 연결하는 사업으로 올해 초 예타 면제가 확정되면서 본격화됐다.
지난 3월 원주국토관리청이 금남JCT에서 남이섬·자라섬 사이를 관통해 춘천 당림IC로 연결되는 노선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면서 남이섬을 비롯한 지역 수상레저업계와 인근 상가 주민들의 반발이 계속되고 있다.
남이섬과 자라섬 인근 주민들과 상인들은 ‘제2경춘국도 합리적 공공성 확보를 위한 시민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지난 24일 정부세종청사 앞 집회를 시작으로 25일 원주국토관리청, 26일 효자치안센터, 정부서울청사, 오는 27일에는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반대집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가평=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