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시내버스 전 노선이 ‘공동배차제’에서 ‘개별노선제’로 전환된다.
울산시는 오는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노선 대형 36개, 직행좌석 5개의 노선운영체계를 기존의 ‘공동배차제’에서 ‘개별노선제’로 전환해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앞서 지난 1월 1일 울산지역 시내버스 중형 26개 노선의 운영체계가 개별노선제로 전환됐다.
공동배차제로 운영되던 대형노선 등 41개 노선도 전환돼 1982년부터 시내버스 주된 노선 운영체계였던 공동배차제는 37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시내버스 8개 업체 110개 노선(746대) 모두가 개별노선제로 전환되면 울산 시내를 오가는 168개 모든 버스 노선이 개별노선제로 운영된다.
공동배차제는 1개의 노선을 5개(한성, 울산, 남성, 학성, 신도) 버스업체가 공동으로 운행해 오던 방식이다.
공동배차제는 노선이나 운행대수의 조정 용이 등의 장점에도 1개 노선을 여러 업체가 운행하다 보니 서비스 제공 주체가 불분명해 버스업체의 서비스 개선 의지 부족, 경영 개선 노력 미흡 등으로 버스 이용 시민의 불편이 가중되어 왔다.
반면에 개별노선제는 노선별 전담운행업체를 지정하여 운행하는 방식이다.
노선운행 주체가 확실하기 때문에 버스업체의 경영개선을 위한 원가 절감 노력 등 대시민 서비스 개선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개별노선제 전환에 대해서는 승무원과 운송업체도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울산을 제외한 전국 6대 도시 중 대구, 광주, 대전은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함께 공동배차제에서 개별노선제로 전환했다.
울산시는 개별노선제 전환을 통해 시내버스의 시민 불편·불친절이 해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춘수 울산시 교통건설국장은 “동일한 노선번호로 운영 중임에도 불구하고 업체가 다르다는 이유로 차량이 몰려다니는 이른바 ‘차량몰림’현상과 ‘차량임의결행’ 문제 등이 해소될 것이고, 무엇보다 버스업체가 대시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책임을 지고 시민이 주인이 되는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지향할 수 있게 되어 향후 시내버스 운행 서비스의 수준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울산시, 37년만에 시내버스 ‘개별노선제’로 전환
입력 2019-06-26 14:36 수정 2019-06-26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