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기 신도시 구축을 위한 싱크탱크를 출범시켰다. 앞으로 건축, 교통, 일자리, 환경 등 대규모 신규택지 조성에 필요한 청사진을 그릴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25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에서 ‘신도시 포럼 발족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포럼은 박환용 가천대 교수를 위원장으로 도시·건축, 교통, 일자리, 환경, 스마트시티, 교육·문화 등 6개 분야에 전문가 50여명으로 구성했다. 이날 발족식에선 최근 정부가 발표한 남양주왕숙, 고양창릉, 하남교산, 부천대장, 인천계양과 과천 등 100만㎡ 이상 대규모 택지 조성에 대해 분야별 구상을 발표했다.
도시·건축분과 발제에 나선 김영욱 세종대 건축학과 교수는 “택지개발 기획단계부터 도시건축 통합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구계획 및 건축설계까지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소통·통합이 가능한 도시(휴먼스케일의 도시가로 공간, 중소규모의 다양한 규모 블록계획 등), 공유와 융합이 있는 도시(거주·업무·여가용도 복합화, 소셜믹스 등)로 조성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교통분과의 조응래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 신규택지 광역교통대책 추진방안과 신도시 교통대책이 인근 지역에 미치는 교통개선 효과를 분석해 발표했고 스마트시티분과의 조영태 LHI 스마트도시연구센터장은 신도시를 위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개념과 적용방안을 설명했다.
국토부 김규철 공공주택추진단장은 “신규택지는 신도시 포럼, 지구별 UCP(Urban Concept Planner), 광역교통대책 등 분야별 전문가 용역 등을 통해 계획단계부터 전문가 참여형으로 추진한다”고 했다. 이어 “포럼을 통해 신규택지가 ‘교통이 편리한 자족도시’, ‘친환경·스마트도시’는 물론 ‘기존 도시와 상생하고 지역 발전을 견인하는 도시’가 되도록 계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