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해군 1함대서 靑 지시로 문전박대”…靑 “한국당, 규정 무시”

입력 2019-06-25 00:23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 김영우 의원 등 '북한 선박 입항 은폐조작 진상조사단'이 24일 오전 강원 동해시 해군 제1함대사령부 위병소(정문) 앞에서 해군 관계자로부터 출입할 수 없다는 입장을 듣고 있다. 뉴시스

자유한국당 지도부가 24일 북한 목선 논란과 관련해 해군 1함대 사령부를 방문하려다 무산된 것을 두고 나경원 원내대표가 “청와대 지시로 문전박대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국방부는 앞서 23일 한국당의 방문 요청을 받고 “한국당 북한선박 입항 관련 진상조사단 부대 방문의 건이 제한됨을 회신한다”는 입장을 팩스로 알렸다.

국방부는 “육군 23사단과 해군 1함대 사령부를 대상으로 합동조사를 실시하는 상황에서 귀 당의 진상조사단이 현장 확인에 나서게 된다면, 성어기 경계작전 강화지침에 따라 임무수행 중인 장병들의 군사대비태세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사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불허 이유를 설명했다.

하지만 국방부의 ‘불허’ 회신에도 불구하고 나 원내대표와 한국당 ‘북한 선박 입항 은폐조작 진상조사단’ 의원들은 24일 해군 1함대를 방문했고, 입구에서 출입이 제지됐다.

이에 한국당은 함대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여는 것으로 방문을 대체했다. 나 원내대표는 “우리가 1함대에 왔는데 문전박대당해야 하나. 이것은 청와대가 시킨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노크 귀순 이후 분명히 군부대를 방문했다. 당시 대선후보였고 당연히 방문하게 해줬다”며 “이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이야기한다”고 강조했다.

나 원내대표는 이어 “제1야당이 진실을 알기 위해 방문하고자 하는데 이걸 막는 청와대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국방부의 사기, 군인의 사기를 운운했는데 청와대의 사기를 이야기하는 게 아닌지 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와 '북한 선박 입항 은폐조작 진상조사단'이 24일 오전 강원 동해시 해군 제1함대사령부 위병소(정문) 앞에서 지난 15일 북한 주민 4명이 목선을 타고 삼척항으로 입항한 사건에 대해 "국정조사를 실시해서라도 진실을 확인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준비하고 있다. 나 원내대표 등은 국방부에 이어 해군 1함대로부터 부대 출입 허가를 받지 못해 출입하지 못했다. 뉴시스

진상조사단장인 김영우 의원도 “온 국민이 궁금해 하고 걱정하는 게 대한민국의 안보 아닌가. 진실을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는데 군부대 방문을 거부하고 있다”며 “지금 장병의 사기를 떨어뜨린 게 누구인가. 경계 작전에 실패하고서도 문제가 없었다고 발표하는 국방장관이 국민의 사기를 땅에 떨어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청와대 관계자는 규정상 방문자는 근무일 기준으로 4일 전에 신청해야 출입을 허가받을 수 있으며 규정을 어긴 것은 한국당이라고 주장했다.

해군 1함대를 방문하기 앞서 나 원내대표와 조사단 의원들은 동해해경 삼척파출소에 방문, 윤병두 동해지방해양경찰청장의 브리핑을 듣는 등 상황을 확인한 뒤 어민들과의 간담회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박수진 수협조합장은 “어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며 “사실관계를 명백히 밝혀주는 것이 삼척 어민들의 소원”이라고 전했다. 북한 목선과 선원들의 사진을 최초로 촬영했던 어민 전모씨는 “그물을 봤을 때 제가 판단하기로는 위장”이라며 “복장도 일하고 왔던 사람이 아니었다”고 주장했다.

나 원내대표는 간담회가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현장에 와서 보니 우리 안보에 구멍이 뻥 뚫렸다. 안보 해체를 넘어 모든 것이 은폐 조작된 게 하나하나 드러나고 있다”며 “조사단의 조사 이후 국정조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백승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