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얘기 듣고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는 속담이 떠올랐다.”
경제관계 부처 관계자는 청와대가 21일 정책실장을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으로 깜짝 발탁한 것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전날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최근 국회 정상화를 위한 막판 협상의 쟁점으로 떠오른 ‘경제청문회’ 또는 ‘경제토론회’와 관련해 내놓은 발언과 맞물려서 한 말이다.
토론회에서 나 원내대표는 “처음엔 (요구한 것을) ‘경제 실정 청문회'라고 네이밍했다”면서 “어떤 이름도 어떤 형식도 좋다고 했다”고 했다. 형식에 상관없이 경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자는 것이었다,
다만 전제를 달았다. 나 원내대표는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정도가 나온다면 우리는 어떤 형식이든 좋다”면서도 “지금 대한민국 경제의 큰 틀은 경제부총리가 하는 게 아니라 청와대가 정하고 있다”고 했다.
경제청문회에서 경제 실정의 책임을 청와대에 돌리기 위한 자유한국당의 전략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공교롭게도 청와대는 나 원내대표의 발언이 나온 다음날 김수현 실장 후임으로 김 위원장을, 윤종원 경제수석 후임으로 이호승 기획재정부 차관을 임명했다.
일단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이 경제청문회나 토론회에 참석해도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나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에 따른 이념적 경제정책, 좌파 포퓰리즘, 반기업 정책으로 경제가 어려워졌다”면서 “이러한 것에 대한 종합적인 경제 현상을 진단하는 것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경제청문회 방향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소득주도성장을 이끌지는 않았지만 지난 대선 때 문재인 대통령의 선거캠프에 합류해 재벌개혁 정책을 논의하고 포괄적 경제 정책인 ‘제이노믹스'를 설계해 문재인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청문회에 나서도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는 거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신임 김상조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은 현 정부 초대 공정거래위원장을 맡아 뛰어난 전문성과 균형감 있는 정무 감각을 바탕으로 국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경제분야 핵심 국정기조인 공정경제 구현에 크게 이바지해왔다”고 평가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