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명 1년 안됐는데…김수현·윤종원 왜 경질됐나

입력 2019-06-21 11:28 수정 2019-06-21 14:59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왼쪽)이 21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퇴임하는 김수현 전 정책실장(왼쪽 두번째)과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 김수현 전 정책실장, 윤종원 전 경제수석, 이호승 신임 경제수석. 뉴시스

임명된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김수현 정책실장과 윤종원 경제수석이 21일 청와대를 떠나게 된 것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경제성장률과 고용 등 경제 지표가 개선되지 않으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 경제라인에 책임을 물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에 따르면 김 실장은 지난해 11월 임명된 지 224일 만에, 윤 수석은 지난해 6월 임명된 지 360일 만에 청와대를 떠나게 됐다. 다만 김 실장의 경우 청와대 사회수석으로 재임하다 정책실장으로 승진한 점을 감안하면 2년 1개월 만에 옷을 벗게 됐다. 이번 인사는 문 대통령이 경제분야 전면쇄신의 모양새를 취하면서 경제에도 새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청와대 김수현 전 정책실장(오른쪽)과 윤종원 전 경제수석(왼쪽 두 번째). 뉴시스

장하성 실장의 뒤를 이어 ‘경제라인 2기 체제’를 이끌었던 김 실장은 소득주도성장을 기반으로 하는 정책기조에 충실한 정책을 펼쳐왔다. 다만 고용·경제지표 부진으로 김 실장에 대한 야권의 공세가 커지는 상황이다. 자유한국당은 최근 김 실장이 출석하는 ‘경제청문회’까지 요구했다. 윤 수석도 문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왔지만 경제 난국으로 인해 문 대통령이 청와대 경제사령탑을 경질할 수밖에 없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청와대에서는 이번 인선을 계기로 엄중한 경제상황 속에서 더욱 힘 있고 안정적인 정책 운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는 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한 만큼 정부의 쇄신 노력이 시장에 긍정적 시그널로 작용하리라는 기대감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업계와 시장에서는 문 대통령이 노무현 정부 청와대에서 근무했을 때부터 호흡을 맞췄고 2012년과 2017년 대선 캠프에서 정책을 입안한 김 실장이 교체된 것에 주목하고 있다. 김 실장은 현 정부 들어 탈원전, 부동산 대책, 소득주도성장 등 논란이 됐던 정책을 사실상 진두지휘했다. 그가 교체되면서 정책 기조도 수정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다만 김상조 신임 정책실장이 임명된 것으로 미루어 큰 정책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청와대는 현 정부 경제정책 기조의 세 축인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의 틀은 그대로 가져가되, 세 가지 정책 축 가운데 가장 논란이 적었던 ‘공정경제’ 분야 책임자인 김상조 실장에게 지휘권을 맡긴 것으로 풀이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